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D-3…한국GM 노사협상 또 ‘헛바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한 사흘 앞두고 8차 교섭도 결렬

시한 사흘 앞두고 8차 교섭

사측 “노사합의만 먼저 끝내라”

노조 “임단협ㆍ정부 협상 동시에”

한국GM의 법정관리를 막기 위한 노사 합의 시한이 사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막판 노사 협상이 재개됐지만, 교섭은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

16일 한국GM 노사는 ‘2018년도 임금ㆍ단체협약’ 8차 교섭을 인천시 부평공장 대회의실에서 재개했다. 7차 교섭이 있은 지 17일 만이다. 노사는 애초 12일 교섭을 재개할 예정이었지만, 폐쇄회로(CC)TV 설치라는 부수적 문제로 갈등을 빚다 무산됐다. 한국GM 관계자는 “사측은 CCTV 설치 계획을 철회했고, 노조는 사측에서 요구한 안전확약서약서를 쓰기로 해 교섭이 성사됐다”고 말했다. 양측이 협상을 위해 한발씩 물러선 것이다.

이날 노사는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기 위해 논의를 벌였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2시간 30분 만에 교섭을 마쳤다. 노조측은 적자발생에 따른 대책, 공장별 미래발전 방향 제시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그 문제를 제외하고 조건부 임단협 합의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카허 카젬 사장과 임한택 노조지부장, 김호규 금속노조 위원장 등은 별도의 자리를 마련해 노사 임단협 교섭과 사측 법정관리 방침에 대해 논의를 벌였다.

노사 양측은 GM 본사가 20일을 노사간 합의 시한으로 둔 이상 이번 주가 분수령으로 보고 있으나 서로 셈법은 다르다. 사측은 GM 의도대로 노사합의안을 이끌어낸 후, 정부에게 신차배정에 따른 투자를 받아 법정관리행을 피하는 것을 우선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노조측은 사측 조건에 맞춰 합의할 경우, 자칫 GM의 정부 압박 카드로 이용당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노조측은 8차 교섭에서 “임단협 합의와 동시에 정부 협상도 타결돼야 한다”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도 GM이 노조원 보수를 줄이는 자구안에만 매달리며, 장기 계획은 내놓지 않는 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5, 10년 이상 운영할 수 있도록 미래차 등 신성장기술 계획을 추가하라”고 요구한 것도, GM이 5년 미만의 단기 생존 전략만 내놓고 있어서이다. 그렇다고 노조가 합의를 안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합의 불발 시 GM이 부도를 내며 ‘철수’카드를 꺼내 들 경우 파국의 책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