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양낙규의 Defence Club]올해 시작된 한미 공수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한미가 이달부터 실시 중인 독수리훈련(FE)에서 육군 공수여단의 강하훈련이 시작됐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2015년 6월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군사령부 사령관과 최윤희 합참의장은 작전계획(작계) 5015에 합의했다. 우리 군은 작계 5015의 내용을 발전시켜 대량응징보복(KMPR)의 개념을 완성하기로 했다. KMPR는 한국형 3축 체계 가운데 마지막 단계로, 1축인 킬체인과 2축인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체계가 무너지면 정예화된 특수부대를 운용해 북한 지도부를 응징한다는 것이다.

한미는 그동안 연합훈련에서 참수작전을 진행해왔다. 미 특수전 부대는 지난해 연합훈련에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하기도 했다. 한미는 올해 참수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13특임여단을 연합훈련에서 제외하지만 707특임대 등 공수여단 일부는 참여시킨다는 방침이다. 707특임대 등 공수여단은 평상시에 대테러, 대간첩, 강력 범죄에 대응을 하지만 전시에는 작전계획대로 각 부대에서 부여된 임무를 수행한다.

하지만 올해 우리 군의 참수작전 전담부대를 배제하기로 했다. 육군은 특수타격훈련이라는 명칭으로 진행되는 참수작전을 위해 지난해 13 특수임무여단(특임여단)을 창설했지만 남북 대화 분위기와 부대 내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해 이번 훈련에는 참여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