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실제 매매된 '유령주식'…주먹구구 드러난 '증권사 시스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번 삼성증권의 배당 사고를 보면 선뜻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개인 투자자들의 분노가 커지는 면도 있고요. 경제산업부 박영우 기자와 함께 보다 자세한 내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박 기자, 이번 사건 발단은 증권사 실무자의 어처구니 없는 실수였죠?



[기자]

네. 삼성증권 실무자가 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자사주에 배당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입니다.

배당 지급창에 1주당 1000원을 입력해야 하는데 원 대신 주를 입력해 버린 겁니다.

그리고 이 주식을 직원들이 실제로 팔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진 겁니다.

[앵커]

실수는 할 수 있다고 칩시다. 그런데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어떻게 대형 증권사에서 이런 실수를 걸러내지 못했고, 결국 실체도 없는 주식이 실제 매매까지 됐느냐 하는 겁니다.

[기자]

네. 1차적으로는 실수를 상급자가 확인해 교정하는 과정, 즉 내부 통제가 제대로 안 된 것이죠.

여기에 증권사의 시스템 역시 얼마나 주먹구구식인지도 드러났습니다.

이번에 실수로 직원들에게 배당된 주식은 28억 주가 넘습니다.

삼성증권이 발행한 전체 주식의 30배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그런데도 내부 시스템에 어떤 경고등도 들어오지 않았고, 더 황당한 것은 전산상으로 입력됐을 뿐 실체가 없는 이 주식이 실제 500만주가 넘게 매매가 됐다는 겁니다.

문제는 이런 시스템을 운용하는 게 삼성증권뿐만 이겠느냐는 겁니다.

시장에 이런 의문과 불신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오늘 부랴부랴 전 증권사를 대상으로 매매 체결 시스템을 점검하겠다고 밝히고 나선 겁니다.

[앵커]

말 그대로 증권 시장과 제도 전반에 대한 불신까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죠. 특히 청와대 청원 게시판을 중심으로 공매도 제도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고 있는데, 이게 이번 사건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우선 공매도가 뭔지부터 살펴봐야 하는데요. 말 그대로 없는 주식을 판다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A종목을 갖고 있지 않은 투자자가 이 종목이 앞으로 떨어질 것 같다고 예상을 하고 매도주문을 합니다.

A종목의 주가가 현재 2만 원이라면 일단 2만 원에 팔게되는건데요.

결제는 3일 뒤인데, 그때 주가가 16000원으로 떨어졌다면 투자자는 16000원에 주식을 사서 결제해 주고 한 주당 4000원의 시세 차익을 얻게 되는 방식입니다.

[앵커]

예를들어 박영우 기자가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주식이 없어 박영우 기자에게 주식을 빌려 파는 거죠. 현금을 쥐고 있다가 나중에 주식 가격이 떨어졌을 때, 그것을 되사서 박영우 기자에게 갚는 겁니다. 그러면 그 차액은 제가 챙기는 겁니다. 이런 개념인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국내에도 이런 공매도가 허용돼 있습니다.

다만 시장이 혼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공매도를 할 때는 먼저 주식을 빌려 놓아야 합니다.

공매도지만 주식의 실체는 있는 거죠.

하지만 이번 삼성증권의 경우에는 있지도 않은 주식을 시장에서 팔았습니다.

법으로 금지한 이른바 '무차입 공매도'와 비슷한 형태가 된 거죠.

이 대목에서 투자자들이 의심을 갖기 시작한 겁니다.

법으로 금지한 무차입 공매도도 실제로 가능하다는 게 입증된 게 아니냐, 또 외국인과 기관들이 그동안 이런 식으로 공매도해서 이득을 챙겨온 게 아니냐는 거죠.

[앵커]

외국인과 기관의 공매도 공세에 주가가 떨어지면서 개인 투자자, 이른바 개미들이 피해를 본다는 인식이 있었는데 그렇게 쌓인 불만이 이번에 폭발한 거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공매도를 금지해달라는 청와대 청원에 이틀 새 14만 명이 넘게 서명한 데는 그런 배경이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공매도 자체를 금지하는 건 쉽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일정하게 공매도를 허용하고 있는데 개방된 시장에서 우리만 이를 금지했을 경우 만만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공매도 제도에 대한 일반 투자자들의 불만이 확인된 만큼 보완조치는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외국인과 기관, 이른바 '큰 손' 들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보다 투명하게 공시를 하게 하는 방안 등이 거론됩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경제산업부 박영우 기자였습니다.

박영우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