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282자 해명자료만 뿌린 김기식…향후 업무수행 '가시밭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8일 공식입장 발표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국회의원 시절 ‘외유성 출장’을 다녀왔다는 지적에 사과하면서도 논란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핵심 의혹에는 답을 피하고 282자짜리(해명자료중 ‘본 사안에 대한 금감원장의 입장’ 부분) 해명자료만 내놓아 오히려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야당도 김 원장 사퇴를 촉구하며 검찰 고발까지 언급하는 터라 향후 업무 수행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원장은 8일 배포한 입장 자료를 통해 “의원 시절 공적인 목적과 이유로 관련 기관 협조를 얻어 해외 출장을 다녀왔다”며 “그것이 국민 기대와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죄송스러운 마음이 크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외유성 출장이라는 비판에는 정면으로 반박했다. 김 원장은 “출장 후 해당 기관과 관련된 공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데 어떤 영향도 받지 않고 소신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했다”면서 “관련 기관에 오해를 살 만한 혜택을 준 사실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옛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무위원으로 활동하던 지난 2014년 3월 한국거래소가 비용을 대 2박 3일간 우즈베키스탄 출장을 다녀왔다. 이듬해인 2015년 5월에는 우리은행 지원을 받아 2박 4일간 중국 충칭과 인도 첸나이를 방문했고, 같은 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예산으로 9박 10일간 미국과 유럽 출장도 갔다.

하지만 김 원장은 한국거래소 출장의 경우 “정무위 위원 시절 거래소의 지주사 전환 관련 법안 처리를 반대하는 상황에서 로비용으로 추진됐다는 일부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거래소가 우즈벡 부총리 등 현지 고위 인사 면담에 국회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동행을 요청해 이를 수락했다”고 했다. 2015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우리은행 지원으로 다녀온 미국·유럽 및 중국·인도 출장도 문제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회가 이전부터 한미연구소(USKI) 및 한국경제연구소(KEI)의 운영 개선과 해당 연구소에 예산을 지원하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관리·감독 기능 강화 등을 요구했고 이런 문제의식에 동의해 현장 조사를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왜 김 원장만 출장을 갔는지, 출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했는지 등은 거론하지 않았다. 자료만 뿌린 탓에 추가 질문도 할 수 없었다. 야당도 그의 해명에 즉각 반발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과거 국회 국정감사에서 공사 직원이 기업 돈으로 해외 출장을 간 것을 두고 명백한 로비 접대라며 엄중히 징계하라고 했던 ‘표리부동’과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끝판왕인 김기식 원장을 분명히 조치해야 한다”며 “청와대가 김 원장을 해임하는 등 책임 있는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진상 조사단 활동과 함께 (김 원장을)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