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바른미래당 고전에 안철수 구원등판…서울시장 선거 대혼전(종합)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與2野 구도에 야권연대 변수…安, '야권 대표선수' 내걸고 지지 호소

安 "박원순, 7년전엔 잘할 거라 믿었는데…김문수, 서울시민에 큰 실례"

민주·한국당, 안철수에 견제구…"준비 안 됐고 새로울 것도 없는 후보"

연합뉴스

서울시장 선거(PG)
[제작 이태호] 사진합성,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설승은 기자 = 바른미래당이 창당 후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안철수 인재영입위원장이 4일 구원투수로 마운드에 올랐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합당했지만 한 달이 넘도록 지지율은 한 자릿수를 맴돈다. 이 때문에 당의 존립이 걸린 6·13 지방선거에 내세울 후보도 빈곤한 상태다. 돌파구가 필요했고, 안 위원장의 투입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었다.

서울시장 선거 판세는 안 위원장이 링 위에 오르면서 민선시장 선출 이후 23년 만에 3자가 대결하는 대혼전 속으로 빨려들 가능성이 농후해졌다.

진보, 보수의 양강 구도에 중도·개혁을 표방하는 안 위원장이 등장하며 던진 파문은 벌써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에 닿았다.

민주당은 조용한 경선 전략을 탈피해 박원순 시장과 박영선 우상호 의원 간 결선 투표를 도입키로 했고, 관료·교수 군에서 후보를 찾던 한국당은 백전노장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유력한 카드로 집어 들었다.

연합뉴스

밝게 웃는 안철수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바른미래당 안철수 인재영입위원장이 4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6·13 지방선거' 서울시장 출마선언에 앞서 웃음을 보이고 있다. hama@yna.co.kr



그러나 '일여다야'(一與多野)는 그러잖아도 여권에 유리한 상황에서 민주당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패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여파 속의 대선에서도 범진보는 서울 득표율만 본다면 오히려 범보수 진영에 뒤졌을 만큼 서울은 승부를 쉽사리 예측하기 어려운 곳이어서 야권의 분열이 내심 반가울 수밖에 없다.

비록 분당 이전의 국민의당 전체를 범보수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안철수라는 인물을 기준으로 한 분류를 적용했을 때 현 상황에서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손을 잡는다면 해볼 만한 승부가 되는 셈이다.

문제는 양당 모두 상대 당을 "없어질 정당"으로 깎아내리며 선거 연대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대선이나 총선과 달리 지방선거에서는 기초의원 선거까지 지역에 따라서는 10표 가까이 찍어야 하는 복잡성 때문에 유권자의 '줄투표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연합뉴스

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 3인3색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6·13 지방선거' 서울시장 도전에 나선 민주당 박영선 의원(오른쪽부터)과 박원순 서울시장과 우상호 의원이 지난 2일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광역단체장 면접에서 면접관 앞에 함께 서 있다. srbaek@yna.co.kr



서울에서 어느 한 후보가 연대로 물러나는 순간 투표용지의 제일 꼭대기 칸이 비워지면서 구청장, 시·구의원 선거는 절대적으로 불리해지므로 쉽게 포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안 위원장은 이를 감안해 '야권 대표선수인 저에게 표를 몰아달라'는 승부수를 서울시민에게 던졌다.

'한국당과의 선거연대는 없다'고 공언한 만큼 인위적인 후보단일화가 아니라 유권자가 자신을 야권의 '사실상 단일후보'로 지지해달라는 호소인 셈이다.

그는 박 시장을 겨냥해선 "7년 전 (서울시장 후보직을) 양보한 것이 사실이다. 그때는 잘할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박 시장은) 지금껏 서울의 제대로 된 변화를 많이 놓쳤다"고 했고, 김 전 지사에 대해선 "서울에 살지 않는 분이 갑자기 나오는 것은 서울시민에 대한 아주 큰 실례"라고 비판했다.

민주당과 한국당은 안 위원장의 경쟁력을 평가절하하며 즉각 반격했다.

연합뉴스

발언하는 김문수 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 지난 3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자유한국당 당사에서 열린 사회주의 개헌저지 투쟁본부 위원장 임명장 수여식에서 김문수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mtkht@yna.co.kr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 나선 박영선 의원은 "서울시장 선거를 대권 디딤돌로 생각하는 분은 이번 선거에 적당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우상호 의원도 "안 위원장은 서울시장 후보로 준비가 잘 안 돼 있구나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한국당 홍문표 사무총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안 후보가) 과연 끝까지 뛸지 그것도 염려된다"고 했고, 정태옥 대변인은 논평에서 "안 후보가 야권 대표후보라고 한 것은 너무 나갔다. 안 위원장은 신선한 것도 새로울 것도 없다"고 깎아내렸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야권연대에 선을 긋고 있지만, 정치권에서는 후보간 지지율 추이에 따라 야권연대는 언제든 불붙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명지대 김형준 교수는 통화에서 "양쪽 모두 당의 존립이 걸려 있어 완주하려 들 것"이라면서 "다만 4∼5월에 정치적 변수가 많은 만큼 연대 가능성이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니다"라고 내다봤다.

예컨대 4·27 남북정상회담이나 그 이후 북미정상회담의 결과가 보수 진영에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심각한 상황이라면 안보를 고리로 연대가 가능하다. 안보에 관한 한 양당의 목소리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또 서울에 국한하지 않고 초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인천, 경기, 부산 등과 연계해 후보를 단일화하는 방법도 있다. 여론조사 결과 서울에서 안 위원장 지지율이 높게 나오면 바른미래당으로 연대하는 대신 나머지는 바른미래당이 양보하는 방식이다.

jamin74@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