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집주인 임대주택 융자한도 최대 1억원까지 늘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상환' 가능 융자형도 신설…4월2일까지 접수

뉴스1

©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올해부터 집주인 임대주택 융자한도가 가구당 최대 1억원까지 상향된다.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이 가능한 융자형 사업도 신설된다.

국토교통부는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공적임대주택 공급 확대의 하나로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을 개선해 내달 2일부터 사업자 신청을 접수한다고 19일 밝혔다.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은 집주인에게 주택도시기금을 연 1.5%의 낮은 금리로 발려줘 주택을 신축·수리하거나 매입하도록 지원하고 세입자는 이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할 수 있게 한 제도다.

집값의 최소 20%만으로도 주택을 매입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대신 임대료는 주변시세의 85% 이하, 임대기간은 8년 이상, 임대료 인상은 연 5% 이내로 제한된다. 입주대상은 무주택 청년과 고령자가 우선된다.

공급된 임대주택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임대관리를 맡게 되며 임대료에서 기금 상환액을 제외한 금액에 대해 만실 기준으로 임대기간 동안 확정수익을 제공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특히 올해부턴 융자형 사업이 신설되는 등 금융지원책이 개선돼 사업자 신청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올해에는 주택개량 비용만 지원하는 건설·개량형과 매입형 외에도 융자형이 신설돼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융자형은 기존 임대주택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전환하고 주택임대사업자에 등록하는 조건으로 융자가 가능하다. 사업 운영은 한국감정원에서 담당한다.

대신 융자형은 집주인이 스스로 임대관리하며 그 내용을 전자계약시스템에 등록해야 한다.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 전반의 융자제도도 개선된다. 이에 따라 융자한도를 수도권(1억원)과 광역시(8000만원), 기타지역(6000만원)으로 구분한다. 다가구주택은 호당 융자한도 대신 가구당 융자한도를 적용한다. 또 모든 유형의 융자한도를 동일하게 설정해 참여를 희망하는 집주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청년층 수요가 많은 도심지역 내 양질의 주택공급을 위해 주거용 오피스텔(준주택)도 사업대상에 포함시켰다.

건설개량 방식의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의 경우 올해부터 LH 표준건축형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를 통해 집주인이 원하는 형태의 주택을 선택하면 설계·시공업체를 추천 가능하다.

참여를 원하는 집주인은 집주인 임대주택 사업 누리집에 게시된 공고문을 참고하거나 LH 전화 상담실, 한국감정원 전화 상담실로 문의하면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집주인들의 사업 참여 독려를 위해 전국 순회 설명회를 27일부터 개최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집주인들의 이해를 도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h991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