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비하인드 뉴스] 'MB와 선긋기' 자유한국당 논평 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토요일 < 비하인드 뉴스 >, 정치부 안지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지현 기자, 첫 번째 키워드부터 볼까요?



[기자]

네, 첫 번째 키워드 < MB와 선긋기 > 입니다.

[앵커]

최근에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MB와 선 긋기를 하는 측근들 많은데 특히 누구 이야기입니까?

[기자]

자유한국당 얘기인데요. 자유한국당 논평을 제가 찾아봤더니 이른바 MB 수사가 본격화된 이후에도 이 전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논평이 많지 않았습니다.

[앵커]

수사가 본격화된 시점이라면 언제로 볼 수 있을까요? 국정원 특활비 얘기 나오면서 측근들이 본격적으로 소환되기 시작한 그 시점으로 볼 수 있을까요?

[기자]

네, 맞습니다. 저희가 구체적으로 논평이 나온 시점을 한 번 따져볼 텐데요.

지난 1월 17일 이 전 대통령이 "정치보복을 멈추라"며 기자회견을 했었죠. 그 날 한국당이 이같은 논평을 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날도 논평을 냈는데요.

모두 정치보복 메시지를 담은 논평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월에는 논평이 한 차례 나왔고요, 이름을 언급한. 그리고 MB가 소환됐던 지난 14일날 논평을 낸 겁니다.

[앵커]

그럼 한 달에 한 건 정도, 상당히 드문드문 논평이 나온 거라고 볼 수 있겠는데 소환 당일 그 논평했다는 그 시점 이후로는 더 이상 없었던 겁니까?

[기자]

현재까지는 없었습니다.

[앵커]

이게 지금 구속되느냐 마느냐 상당히 중요한 순간이라 어찌 보면 정치권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확실히 좀 멀리 하는 느낌 있다고 볼 수 있겠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자유한국당은 표면적으로는 이 전 대통령이 더 이상 당원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었지만 실제로는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엄호가 실익이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 같습니다.

[앵커]

실익이 없다, 그렇다면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 여론을 의식한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겠군요?

[기자]

여론을 살펴볼 만한 몇 가지 단서가 있었는데요.

먼저 이명박 전 대통령 소환 전후 2박 3일간 이 전 대통령의 자택 앞에서 지지자가 거의 없는 모습이었습니다.

지지자들이 골목을 메웠던 박근혜 전 대통령 소환 때와 비교되는 뉴스도 많이 나왔었는데요.

이런 썰렁한 장면이 하나의 메시지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여론조사는 어떻습니까? 여론조사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 우호적이지는 않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 14일 실시한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 살펴볼 텐데요.

"이명박 전 대통령을 엄정한 사법 처벌을 해야 된다"는 의견이 79.5%, 약 80% 가까이 집계됐고요.

"전직 대통령의 예우를 해줘야 된다"는 의견은 15.3%에 그쳤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럼 과거 친이계 의원들은 어떻습니까?

친이계 의원들이 이런 중요한 순간순간들마다 또 이명박 전 대통령을 응원하는 메시지 내놓고 그러지 않았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이 전 대통령 검찰 소환 당일날 몇몇 의원들이 자택 앞에 찾기도 했는데요.

권성동 의원을 비롯해서 주호영, 김영우 의원들이 자택을 찾았지만 추가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두 번째 키워드 한 번 볼까요?

[기자]

두 번째 키워드 보겠습니다. < 패럴림픽에 응원을 > 입니다.

[앵커]

태극기가 꽂힌 배낭을 멘 여성분의 사진이군요.

[기자]

아시는 것처럼 김정숙 여사의 뒷모습인데요.

청와대가 지난 15일에 공개한 패럴림픽 아이스하키 경기장을 찾는 김정숙 여사의 모습입니다.

태극기를 배낭에 넣은 채 응원하러 가는 모습인데 김정숙 여사는 9일 개막한 패럴림픽에 12일 하루를 제외하고는 매일 방문했습니다.

[앵커]

하루 빼고요?

[기자]

그래서 오늘(17일)도 방문했는데요. 오늘 아이스하키 관람을 하면서 태극기를 든 채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찍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아무래도 동계올림픽 자체에 비해서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이 적다 보니까 저런 사진들 또 화제가 됐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문재인 정부 그리고 일반적으로도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이 적다, 이런 비판 성명도 내고 그런 입장 보이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맞습니다. 먼저 자유한국당이 패럴림픽 개막식 당일에 비판 성명을 냈었었는데요.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고 경기 중계 편성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비판 성명을 낸 바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당 대표로서는 유일하게 홍준표 대표만 참석하지 않으면서 비판 여론이 일기도 했었는데요.

그래서 지난 15일 한국당 홍 대표가 경기장을 찾기도 했습니다.

[앵커]

이 내용은 저희가 예전에 박성태 기자가 비하인드 뉴스에서 다룬 적도 있었죠. 그런데 패럴림픽이 내일이면 폐회식입니다.

[기자]

맞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일정을 확인해 보니까 당 대표로 폐회식에 참석하는 당대표는 민주당과 정의당뿐이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공식 계획상으로 확인을 했다는 것이죠?

[기자]

맞습니다.

[앵커]

공식 계획이니까 일정을 바꿔서 당 대표가 참석할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다른 인사가 갈 수도 있겠죠.

한 번 지켜볼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안지현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