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CEO 승계 프로그램 미비...금융사 지배구조 문제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감원 9곳 점검 결과 발표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에 대한 제대로 된 경영승계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지 않는 등 금융지주회사의 지배구조가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는 금융 당국의 진단이 나왔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부터 국내 9개 금융지주사의 지배구조를 점검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9개 금융지주의 감사위원은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위험관리위원회, 보수위원회 등 지주사의 각종 위원회 직책을 평균 2.6개씩 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영진 업무를 감시하는 감사위원이 업무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위험관리위원을 겸직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사외이사도 책임을 지고 권한을 행사하는 데 소극적이라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최근 2년간 직무 수행에 필요한 외부 자문을 요청한 곳은 별로 없었고, 사외이사가 자료나 자문을 요청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사외이사 연임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의 임기가 만료될 경우 금융지주는 자체적인 평가 결과를 토대로 연임 여부를 정하는데 대부분 사외이사가 최고 등급을 받아 사실상 변별력이 없었다.

CEO 후보군에 대한 경영승계 프로그램이 갖춰지지 않은 곳도 있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지주회사는 잠재적인 CEO 후보군을 선정해 체계적인 육성 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