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비하인드 뉴스] 논현동과 삼성동…'달랐던' 골목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비하인드뉴스를 시작하겠습니다. 박성태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첫 번째 키워드를 열까요.



[기자]

첫 번째 키워드는 < 달랐던 '골목길' >입니다.

[앵커]

어느 골목길.

[기자]

서울 논현동의 골목길입니다.

오늘(14일) 아침 이명박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석하기 전 모습을 잠깐 볼 텐데요.

상당히 한산한 모습입니다. 가운데는 한산하고요.

[앵커]

취재진은 물론 많고요.

[기자]

취재진은 물론 많았고요.

현장 취재기자에 따르면 오늘 이명박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일반 시민의 지지 모습은 한 사람도 없었다고 합니다.

[앵커]

오른쪽 밑 쪽에 보면 구속하라고 쓴 팻말을 든 시민들은 보이네요.

[기자]

구속하라는 시민들은 많았는데 이 전 대통령을 응원하는 시민은 한 사람도 없었는데요.

현장 기자에 따르면 현지에서 경비를 맡은 경찰들도 약간 한가해 보일 정도였다고 합니다.

1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석하기 전 모습을 잠깐 보면 그 당시.

[앵커]

복잡했죠.

[기자]

당시 삼성동 자택 앞에는 많은 지지자들이 와서 약간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었습니다.

[앵커]

그러고 보니까 거의 꼭 1년이네요.

[기자]

저 때는 3월 21일고요.

검찰청 앞에서는 측근인 이재오 전 의원과 그리고 지금 영상을 잠깐 보면 양복을 입은 일부 시민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정치보복 수사를 중단하라'라는 구호를 같이 외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진짜 시민처럼 보이는 한 분이 손팻말을 들고 'MB 힘내세요, 일하신 것 기억합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딱 한 분이 저 팻말을 들고 있었는데요. 주변에서 다른 분의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앵커]

물론 퇴임한 지 5년 정도 된 것도 이유가 되겠지만 어쨌든 이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지금 측근들도 등을 돌렸고 지지자도 굉장히 극히 드문 그런 상황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도 봤지만 이 전 대통령은 경찰청 앞에서 준비한 입장문에서는 기소된 측근들을 의미하는 듯 진심으로 미안하다 이런 말을 했었는데 자택에서 나가기 전에는 나는 깨끗한데 나만 깨끗하다고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면서 비리를 측근 탓으로 돌리기도 했었습니다.

이 때문에 과연 이 전 대통령의 진심이 뭔지는 측근들도 알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고요.

2007년 대선 당시에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도 오늘 페이스북에 글을 하나 올렸는데요.

죄를 지었으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처벌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일단 선을 그은 뒤에 그 다음에는 오래된 개인비리 혐의를 집요하게 들춰냈다라면서 현 정부에 대한 불만을 좀 표출을 했습니다.

그런데 개인 뇌물 비리가 100억 원이 넘는다는 게 검찰의 판단인데.

[앵커]

혐의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 부분을 그러면 감춰야 되는 건지 그리고 오래됐다는 얘기는 사실 다스나 BBK 문제는 오래 전부터 제기돼 왔는데 지난 9년 동안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지나면서 권력이 묻어왔던 게 이제 드러나는 것입니다.

[앵커]

두 번째 키워드로 갈까요.

[기자]

두 번째 키워드는 < 받았어도 뇌물 아니다? >로 잡았습니다.

[앵커]

또 뇌물이 나오는군요.

[기자]

오늘 국정원으로부터 1억 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최경환 의원의 공판준비기일 재판이 있었는데요.

최 의원의 변호인은 국정원의 이헌수 전 기조실장을 통해서 최 의원이 1억을 받은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라고 주장을 하고 또 법리적으로 뇌물이 아닙니다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앵커]

이건 무슨 얘기입니까?

[기자]

잘 이해가 안 되는데 판사가 당시 변호인의 주장을 정리를 하기를 우선 1억 원은 안 받았다는 주장인데 설령 받았어도 뇌물이 아니라는 주장이군요, 라고 정리를 했습니다.

[앵커]

정리를 해도 사실 잘 모르겠네요, 무슨 얘기인지.

[기자]

맞습니다. 돈을 안 받았으면.

[앵커]

안 받았으면 그만이고 받았으면 거기에 가정이 왜 들어가는지 모르겠네요.

[기자]

안 받으면 안 받았다는 것만 증명하면 되는데 만일 받았다면 뇌물이 아니다라는 것은 사실 어떻게 보면 사족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이미 최경환 의원도 사실 비슷한 주장을 한 바 있습니다.

가장 먼저 뇌물 의혹이 처음 제기됐을 때 만약 사실이라면 동대구역 앞에서 할복 자살하겠다라는 말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앵커]

이런 얘기는 자막으로 내기도 민망하기는 하죠.

[기자]

그렇습니다. 좀 과격한 표현을 썼었는데요. 그런데 점점 혐의가 구체화되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을 향해서 뇌물을 받은 적이 없다라고 했는데요.

이 말 다시 한 번 들어보겠습니다.

[최경환/자유한국당 의원 (지난해 11월) : 터무니없는 음해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국정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 뇌물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앵커]

이것도 좀 애매한 부분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돈을 안 받았다는 주장이냐. 그런데 받았는데 뇌물은 아닌 거냐 이런 얘기잖아요.

[기자]

돈은 받았는데 뇌물이 아닌 돈을 받았다라는 주장으로 최후의 방어막을 펴는 듯한 모습인데요.

그런데 돈을 줬다는 사람인 이병기 전 국정원장 그리고 이헌수 전 국정원 기조실장 등이 구체적인 정황까지 밝히고 있기 때문에 사실 뇌물 혐의를 벗어나기는 어렵다는 그런 해석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세 번째 키워드를 열죠.

[기자]

세 번째 키워드는 < 아베의 북한 활용법 >으로 잡았습니다.

오늘 일본 지지통신은 아베 일본 총리가 일본인 납치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서 북일 정상회담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검토에 들어갔다라고.

[앵커]

여기는 이제 북일 정상회담을 얘기하는군요.

[기자]

네, 보도를 했습니다.

[앵커]

중국도 뭐 북중 정상회담 하겠다고 얘기 나왔었으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그런데 아베 총리는 지난번 평창동계올림픽에 와서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었는데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하면 안 된다라고 얘기했다가 문재인 대통령이 내정간섭은 곤란하다라고 말하는 그런 지적을 받기도 했었습니다.

대북, 그러니까 아베 총리는 강경파였는데 며칠 만에 대화파로 급선회를 한 것입니다.

[앵커]

얘기 나오는 것으로만 보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무슨 정상회담하느라고 굉장히 바쁜 사람이 될 것 같습니다.

[기자]

갑자기 인기가 높아진 셈이 됐습니다.

[앵커]

예전에 왜 대피훈련도 하고 그랬잖아요, 일본에서는.

[기자]

사실 아베 총리는 북한의 핵 위협을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했다라는 평가를 받아왔는데요.

실제 그 위협을 가장해서 지지율도 올랐었고 또 그런 다음에 전쟁을 할 수 있는 국가로의 헌법 개정도 추진해 왔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태도가 돌변했는데 이는 최근 한반도의 대화무드에 일본 패싱이라는 얘기가 나오자 서둘러서 태도를 바꿨다는 지적도 있고 또 하나는 지금 저희가 계속 보도했다시피 아베 총리가 일본 내에서 학원스캔들로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을 돌리기 위해서 북일 정상회담 카드를 꺼낸 것 아니냐, 이런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럴 수도 있겠군요.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박성태 기자였습니다.

박성태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