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바른정당 창당 1년…통합으로 새로운 보수의 길 모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4일 창당 첫돌 맞는 바른정당…33명→9명 축소 '다사다난'

국민의당과 통합으로 '정치 실험' 이어갈듯

뉴스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 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서울=뉴스1) 전형민 기자 =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국면 당시 새누리당 내 친박(親박근혜)계와 대립한 비박(非박근혜)계가 집단으로 탈당해 창당한 바른정당이 오는 24일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창당일을 맞는다.

'따뜻한 보수, 깨끗한 보수'를 기치로 내건 바른정당은 지난 1년 간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에서 빠르게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고 사죄를 구하며 그간 새누리당에서 볼 수 없었던 '합리적 보수'라는 이미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여러차례 고비를 겪으며 국회의원 수가 창당 초기 33명에서 현재 9명으로 쪼그라들어 원내에서 유의미한 변수가 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있다.

바른정당의 첫 고비는 5월 대선이었다. 당시 당은 보수 진영의 유력 대권 주자였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영입에 총력을 다했으나 반 총정의 갑작스러운 불출마 선언으로 유승민 대표가 대선 후보가 됐다.

이 과정에서 당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인 홍준표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가 불거졌고, 소속 의원 13명이 창당 99일 만에 보수 대통합과 좌파 정부 출범 저지를 명분으로 집단 탈당했다. 소속 의원수는 교섭단체를 겨우 유지하는 수준인 20명으로 줄었지만 유 대표는 6.8%의 득표율로 대선 레이스를 완주했다.

두 번째 고비는 대선 이후 스스로 힘을 키워야 한다는 '자강파'와 보수 대통합을 주장하는 '통합파' 간 갈등이 깊어지면서다.

대선 직후 치러진 6·26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자강파' 이혜훈 대표가 74일 만에 수천만원대 금품 수수 의혹에 휩싸여 낙마하면서 지도부에 공백이 생기자, 지난해 11월 김무성 의원과 주호영 원내대표 등 9명이 집단 탈당했다.

바른정당은 11석으로 줄어들면서 교섭단체 지위를 상실했고, 11월13일 전당대회를 통해 유 대표가 당권을 잡으면서 다시 당의 전면에 서게 됐다.

세 번째 고비는 최근 김세연·박인숙 의원이 지역구 지지자들로부터 '한국당 복당' 압박을 받아 탈당하면서다. 두 의원의 탈당으로 바른정당은 한 자릿수 의석(9석)을 보유하게 됐다.

비슷한 시기에 당 대선 예비후보를 지냈던 남경필 경기도지사마저 탈당하고 또 다른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인 원희룡 제주도지사까지 탈당을 고민하면서 당세가 크게 위축됐다.

바른정당은 지난 1년 동안 주요 현안에서 '합리적·따뜻한 보수'라는 창당 정신을 구현하고자 다양한 '정치적 실험'을 해왔다.

창당 초기 국회 국정 농단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서 위원장이었던 김성태 의원, 장제원·하태경 의원 등 스타를 배출했고 이후 의정활동에서 국민의당과 함께 다당제 구도를 구축, 다양한 여론을 반영하려고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주요 국면마다 계속 줄어드는 의원수로 인해 수차례 분당 위기를 겪은 점과 줄어든 의석수로 현실 정치에서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바른정당 '개혁보수 실험'의 성패는 국민의당과의 통합 성과에 따라 갈릴 것으로 보인다. 유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18일 '통합개혁신당'을 공식 선언하면서 바른정당-국민의당 간 통합이 초읽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유 대표와 안 대표는 이날 선언문에서 "이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건전한 개혁보수와 합리적 중도의 힘을 합쳐 우리 정치의 혁신을 바라는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치권은 바른정당이 통합을 통해 '개혁 보수', '다당제' 등 유의미한 정치 실험을 계속해 나갈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월 24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바른정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의원 및 주요 당직자들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사죄의 마음을 담아 무릎을 꿇고 국민들에게 드리는 글을 낭독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손형주 기자


maverick@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