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상권분석 A to Z] 상가투자 할땐 임차인 구성도 꼭 따져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권 분석은 주변 배후 수요, 유동인구 등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평가함으로써 상가의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도구다. 상가 투자나 자영업 창업을 고려하는 사람들이라면 중개업소나 컨설팅회사에 조언을 구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스스로 나름 기준에 따라 상권을 분석해야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가 투자자라면 해당 상권에 어떤 임차인들이 입점해 있는지를 따져보는 것이 꼭 필요하다. 과거에는 좋은 상권을 따질 때 입지만 평가하는 '입지운명론'이 대세였지만 최근에는 양질의 임차인이 업종별로 얼마나 다양하게 배치돼 있느냐가 중요하다.

아무리 역세권에 위치한 아파트의 상가라 할지라도 해당 상가 내에 공인중개업소나 미용실 등 특정 업종만 들어섰다면 유동인구 증가나 상권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입지만 보고 이런 상가에 투자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실제 최근 서울 시내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를 보면 분양가는 높지만 임차인 업종의 전략적 안배가 이뤄지지 않아 상권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