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낙연 총리 "북한 핵·미사일 해결 평창올림픽 이후에도 과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 총리, 문재인정부 첫 중앙통합방위 회의 주재

민·관·군·경 긴밀한 협업 '전방위 총력안보태세' 확립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 통합방위 역량 극대화 강조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17일 문재인정부 첫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그리고 올림픽 기간 중의 테러 가능성 같은 우리의 안보과제를 냉정하게 분석하면서 방위태세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 별관에서 국무위원, 유관기관, 지자체장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51차 중앙통합방위 회의’에서 “올림픽 기간 중에 테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면서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의 해결은 평창올림픽 이후에도 과제로 남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작금의 대한민국은 북한의 강화된 핵과 미사일 위협에 마주하고 있다”면서 “그런 상황에서 2월 9일에는 평창동계올림픽을 개막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마침 남북대화가 재개됐고, 평창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기로 결정됐다”면서 “올림픽 기간과 그 전후의 일정기간은 안보 리스크가 낮아졌다고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의 남북대화가 향후의 남북관계 개선에 기여하도록 우리는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현 안보태세에 대한 평가와 함께 군사대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민·관·군·경이 긴밀한 협업을 통해 통합방위 태세를 강화해 ‘전방위 총력안보태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것을 다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북핵 위협 대비 군·지자체 대응방안 △생물·화학무기를 이용한 테러 대응방안 및 평창 올림픽 기간 테러 발생시 선수단·관람객 안전확보 대책 △사이버 위협대비 유관기관 협업강화방안 △재해·재난시 효율적 초기대응 강화를 위한 정부·지자체 공조방안 등 범정부 차원의 종합대책들을 중점 토의했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 안전 확보를 위해 유관기관 협력으로 경비·안전 역량을 최대한 집중하고, 테러 양상 변화에 따른 맞춤형 대테러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회의에서 군은 굳건한 연합방위 태세 유지, 북핵·미사일 도발 대비태세 강화, 북한 도발시 합동전력 투입 및 강력한 대응과 함께 완벽한 군사대비태세를 확립해 국가의 주요 정책을 ‘강한 국방력’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 통합방위 우수기관·부대로 선정된 충청남도, 육군 37보병사단, 해병 9여단,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공군 19전투비행단,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