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정부 규제에도 작년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 100조원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6년 대비 13%↑ 867조원…송파구, 강남 이어 두번째 100조원 돌파

재건축 강세, 도심 고가 새 아파트 입주 등 영향…전국은 2천365조원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지난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이 100조원 가까이 불어나 86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전체 아파트 시가총액도 새 아파트 입주 등의 영향으로 2천300조원을 돌파했다.

11일 부동산114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약 867조602억원으로 2016년(767조2천597억원) 대비 99조8천5억원(13.0%) 증가했다.

역대급 규제로 평가된 새 정부의 8·2부동산 대책 등 강도높은 규제에도 강남권 재건축은 물론 서울 도심 등 요지의 일반 아파트값까지 일제히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강남구의 아파트 시가총액이 2016년(123조1천406억원) 대비 13% 늘어난 139조5천937억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압구정 현대·개포 주공 등 재건축 추진 단지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압구정 현대 아파트 전용면적 84㎡형의 경우 지난해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어섰다.

연합뉴스

압구정 현대 아파트 일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역시 잠실 주공5단지 등 대규모 재건축 단지들이 강세를 보인 송파구는 강남구에 이어 두번째로 시가총액 100조원대 시대를 열었다. 작년 말 기준 시가총액이 102조4천99억원으로 2016년(84조617억원) 대비 21.8% 늘었다.

서초구의 시가총액은 2016년 대비 12.2% 증가한 98조3천836억원으로 100조원에 근접했다.

강남권 4개 구의 재건축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139조5천90억원으로 2016년 대비 10.3% 증가했다.

시가총액의 상승폭은 도심권 아파트가 더 컸다. 종로구의 경우 2006년 4조7천756억원이던 시가총액이 지난해 7조902억원으로 48.5%나 늘었다.

지난해 2월 2천533가구에 이르는 교남동 '경희궁 자이' 입주 영향으로 시가총액이 급증했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85㎡는 현재 시세가 13억원에 달하는 등 도심권의 고가 아파트로 부상했다.

연합뉴스

종로구 교남동 경희궁 자이 아파트 전경 [GS건설 제공=연합뉴스]



중구의 아파트 시가총액(8조6천553억원)은 2016년 대비 20.1% 늘었고, 성수전략정비구역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성동구(36조7천126억원)도 아파트값 상승에 힘입어 시가총액이 19.3% 증가했다.

전국의 시가총액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2천365조6천587억원을 기록했다.

대구시의 시가총액이 123조6천872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고 부산은 173조5천678억원으로 5.5% 늘었다.

또 경기도의 시가총액은 660조9천237억원으로 1년 만에 7.6% 증가했다.

sm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