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남영동 대공분실 등 6곳, 인권현장 바닥동판 설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남영동 대공분실터 인권현장 바닥동판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는 고(故) 박종철 열사 31주기(1월14일)에 맞춰 '남영동 대공분실 터' 등 6곳에 인권현장 바닥동판을 설치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남영동 대공분실(지하철 1호선 남영역 인근) 건물 외부 출입구 근처 바닥에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역삼각형 형태(가로·세로 35cm)로 동판을 설치했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고 박종철 열사와 민주화운동의 거목으로 불리는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등 군사독재 시절 많은 민주화 인사들이 끌려와 고문을 당한 곳이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현재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함께 ▲민주화운동 당시 단일사건 최대인 1288명이 구속당한 '10·28 건대항쟁 자리' ▲민주인사 등에게 고문수사를 했던 국군보안사 서빙고분실 '빙고호텔 터' ▲일제강점기 여성인권을 탄압한 대표적인 기생조합인 '한성권번 터' ▲미니스커트·장발 단속 등 국가의 통제와 청년들의 자유가 충돌했던 '명동파출소' ▲부실공사와 안전관리 소홀로 사상자 49명을 낸 '성수대교' 등 5곳에도 인권현장 바닥동판이 설치됐다.

10·28 건대항쟁은 1986년 10월28일부터 31일까지 66시간50분 동안 건국대에서 전개된 민주화운동이다. 당시 건국대 본관 앞에서 민주화시위를 하던 전국 27개 대학 소속 학생 2000여명이 경찰에 의해 진압됐다. 경찰은 학생들을 5개 건물로 몰아넣고 작전명 '황소 30'이라고 명명된 진압작전을 폈다. 그 결과 1525명이 연행되고 1288명이 구속됐다. 단일사건으로는 사상 최다 구속 기록이었다. 바닥동판은 건국대 안 '10·28 건대항쟁 기림상' 앞에 설치됐다.

국군보안사 서빙고분실은 고문수사시설 중 하나로 1972년 10월 유신 이후 '빙고호텔' 등으로 불리며 군사정권 시절 공포정치의 대명사로 통했다. 1990년 국군보안사가 민간인 정치사찰 중지를 선언하고 국군보안사에서 국군기무사령부로 명칭을 바꾸면서 서빙고분실은 폐쇄·철거됐다. 현재는 아파트가 들어서있다.

국군보안사 서빙고분실에서는 1957년부터 1990년까지 민간인을 간첩으로 둔갑시키거나 군부 권력에 비협조적인 사회 각계 인사를 회유·협박하는 일이 벌어졌다. 민주인사 등을 대상으로는 고문수사가 이뤄졌다.

권번은 일제강점기에 생겨난 일종의 기생조합이다. 한성권번은 여성인권을 탄압한 대표적인 기생조합(1918~1942년)으로 알려져있다. 한성권번은 요릿집 출입을 관리하고 기생의 놀음차(화대)를 대신 받아주는 일종의 소속사 기능을 하면서 기생들의 입회비, 월회비, 수입 일부를 수수료 명목으로 떼어가며 기생들을 조직적으로 착취했다. 한성권번이 있던 자리에는 현재 프리미어플레이스 빌딩이 들어서있다. 도시기반시설본부,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 등 서울시 부서가 입주해있다.

명동파출소는 1970년대 장발과 미니스커트 단속이 이뤄지던 현장이다.

당시 언론·시민언행권 탄압을 선포한 1972년 10월 유신에 따라 '개정 경범죄 처벌법'을 만들어졌고 이에 따라 경찰은 장발과 미니스커트를 단속했다. 장발 단속에 걸린 이들은 강제로 머리를 깎였다. 법이 정한 치마길이 한계선(무릎 위 20㎝)을 넘긴 이들은 즉결심판에 넘겨지기도 했다.

성수대교는 부실공사와 안전관리 소홀로 32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치는 대참사가 일어난 대표적 재난현장이다. 사고 이후 기존 성수대교는 허물어졌고 새로운 다리가 들어섰다.

성수대교 붕괴사고는 1994년 10월21일 오전 7시40분께 발생했다. 10번째와 11번째 교각 사이에 있던 120m 중 중앙 48m 길이 바닥이 꺼지면서 한강으로 내려앉았다. 당시 출근과 등교 중이던 학생·직장인 등이 차량과 함께 추락해 32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시는 시민들이 이들 인권현장에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곁들인 도보 탐방구간 7개를 개발했다. 이 가운데 지난해 9~11월 4개구간을 운영한 결과 26회에 걸쳐 시민·학생 등 1300여명이 참여했다.

시는 올해도 인권현장 바닥동판 설치와 탐방을 지속할 계획이다.

인권현장 바닥동판 설치와 도보 탐방행사 운영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인권담당관(02-2133-6384)으로 문의하면 된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바닥동판이 설치된 인권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탐방할 수 있도록 도보 탐방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며 "그간 잘 알지 못했던 인권현장에 얽힌 사연과 아프지만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어두운 역사를 알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daer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