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도심 악취 주범 하수도 ‘차세대 모델’로 바꾼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새 표준모델 마련 모색/정화조 분뇨 하수도 배출 전면 폐쇄/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도 간편화/도시환경 개선·비용절감 등 기대/IoT 기술 결합 품질 향상도 추진

서울시가 도심 악취 발생의 주범인 하수도 체계 변경에 나선다. 정화조는 전면 폐쇄하고, 음식물쓰레기는 개수대를 통해 바로 하수도에 내려보내는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하수도를 쾌적하고 효율적인 차세대형으로 교체하기 위한 표준모델을 마련한다고 10일 밝혔다.

서울 하수도의 길이는 총 1만615.7㎞로, 빗물과 생활하수, 분뇨가 하나의 관에 모여 물재생센터에서 처리되는 ‘합류식’ 시스템이다. 이 중 분뇨는 개인 가정집에 설치된 60만개의 정화조에 저장돼 있다가 1차 처리 뒤 하수도관으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한다. 시가 지난해 6월 시민 28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하수도 관련 여론조사에서도 ‘하수도 냄새’(48.1%)가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혔다.

차세대 하수도 모델은 정화조 등의 중간처리 과정을 없애 빗물과 생활하수, 분뇨를 하나의 관으로 바로 모으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정화조를 폐쇄하면 도시 환경이 쾌적해지고 정화조 관리비와 분뇨수거차량 이용비 등도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에 따르면 각 가정에 정화조가 설치된 것은 1970~80년대 정부가 하수도를 구축할 당시 기술수준이 미비했기 때문이다. 이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분뇨를 바로 하수도로 보내도 처리할 수 있게 됐지만 하수도 체계는 변하지 않았다.

세계일보

시 관계자는 “1995년 하수관로 종합정비사업을 진행하면서 정화조를 폐쇄하려 했으나 하수관 내 분뇨 퇴적 우려 등으로 시도하지 못했다”며 “시민 생활수준이 높아진 만큼 대대적인 하수도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해 23년 만에 다시 시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도 간편해진다. 현재 생활하수는 고체를 별도로 버리는 방식이어서 설거지를 하다 음식물쓰레기가 나올 경우 따로 모아 봉투에 넣어 버려야 한다. 하지만 차세대 하수도 시스템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개수대에 버려도 하수관을 통해 물재생센터로 이동, 고도화된 기술로 처리된다. 다만 음식물쓰레기분쇄기 등을 통해 잘게 갈린 음식물쓰레기만 하수도에 바로 버릴 수 있다.

아울러 하수도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해 지역별 하수량·오염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수도 설계 및 시공기준을 재정립해 하수도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시는 내년 6월까지 광진구 군자동·능동, 성동구 송정동 일대를 대상으로 ‘군자-2 소블록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0년 6월까지 기본·실시설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2023년부터는 연간 3000억원을 투입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한다.

한제현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과거 하수도의 양적 성장이 이뤄졌다면, 이제는 도시 인프라의 질과 시민편의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할 시점”이라며 “하수도 정비가 이뤄지면 하수도 수명이 늘어나 도로함몰·침수 등의 재해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