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임대등록 활성화 첫 주] 강남 중대형, 8·2 대책 이후 1억~3억 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3년간 중대형(전용 85㎡ 초과) 전체 분양의 10%도 안돼…공급 부족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8·2 부동산 대책' 직후만 해도 분위기가 잠잠했는데 오히려 겨울이 되면서 중대형 호가가 최근 1개월간 1억원 가까이 올랐네요. 비수기에 이 정도로 오르기 쉽지 않은데, 내년 봄에는 더 오르는 것 아니냐고 묻는 주민들도 많습니다."(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인근 중개업소 대표)

그간 중소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면 받던 중대형 아파트가 재조명되고 있다. 지난 13일 발표된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방안' 등 잇따른 규제 여파로 다주택자들의 '중대형 옥석 가리기'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최근 수년간 공급도 눈에 띄게 적었던 탓에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임대 활성화방안을 통해 시장 아래 잠재해 있는 수많은 다주택자 매물들의 임대등록주택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책에 따른 혜택 대부분이 8년 이상 장기임대사업자에게 집중돼 있고, 주택가격 기준도 수도권의 경우 6억원 이하(비수도권 3억원)로 설정돼 가격이 높은 서울 단지들은 실효성이 사실상 없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권대중 대한부동산학회장은 "이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6억원이 넘는 강남 일대는 감면 대상에서 제외된다"며 "무엇보다 유동자산이 풍부한 다주택자라면 우량 중대형을 팔 이유가 없다. 오히려 강남은 연이은 대책으로 진입 장벽만 높아져 일대 단지들의 희소성만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수년간 분양 시장 물량 공급이 중소형 위주로 쏠린 점도 내년 중대형 회복 전망에 힘을 싣는 요소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일대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는 2013년 9191가구가 공급되며 전체(3만9208가구)의 23%를 차지했으나, 이후 △2014년 4317가구(14%) △2015년 3884가구(9%) △2016년 2911가구(7%) △2017년 3447가구(8%) 등 2015년 이후 전체 10%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실수요층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전용 60㎡ 초과~85㎡ 이하 아파트는 올해 2만131가구가 공급되며 전체 46%를 차지했다. 또 2013년 1만3252가구로 34%를 차지했던 전용 60㎡ 이하 아파트는 이후 공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올해 1만9816가구까지 공급량이 늘었다.

지난 11월 아파트 매매평균가격도 면적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전용 40㎡ 이하 초소형은 3억203만원으로 전월 대비 311만원 감소했지만 전용 135㎡ 이상 대형의 경우 15억4711만원으로 1049만원 상승했다. 또 95.9㎡ 이상~135㎡ 미만의 중대형도 8억6614만원으로 전월 대비 980만원 올랐다.

개별 단지도 상승세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 1차' 아파트 전용 131㎡는 평균 매매가격이 지난 8월만 하더라도 20억7500만원이었으나 이달 기준 23억7500만원까지 치솟았다.

인근 S공인중개업소 대표는 "현대 1차는 지난 10월 정부의 가계부책 대책 이후 호가가 크게 오르며 거래가 이어지는 추세"라며 "임대등록 인센티브에서 제외됐지만 기본적인 대기수요가 풍부해 다주택자 입장에서는 내놓을 필요가 없는 매물"이라고 했다.

서초구 반포동 일대 랜드마크 단지인 '아크로리버파크'도 전용면적 112㎡가 지난 8월 27억원에서 이달 28억5000만원으로 1억5000만원가량 상승했다. 또 서대문구 홍파동 '경희궁자이 2단지' 138㎡도 4개월간 2250만원 오른 16억5000만원 선에 시세가 형성됐다.

곽창석 도시와공간 대표는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강도가 세질수록 시세 안정성을 확보한 '블루칩' 단지의 선호도는 더욱 높아지게 마련"이라며 "특히 강남권을 비롯한 서울 주요지역 중대형 아파트는 최근 가격이 많이 오른 중소형과 시세 간극이 많이 좁혀졌다. 상대적 가격 경쟁력이 생겨 내년 시세 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충범·홍성환 기자 acechung@ajunews.com

김충범 acechung@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