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김범주의 친절한 경제] 너도나도…직장인·대학생들 비트코인 투자 열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친정한 경제 주요 경제 현안 정경윤 기자와 얘기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 기자, 어서 오십시오. (안녕하세요.) 한 두 달 전쯤에 이 코너에서 손승욱 기자가 가상화폐 비트코인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때만 해도 사실 많은 분들이 "저게 무슨 소리냐" 하셨을 거예요. 요새 많이 올랐다고 하니까 관심이 올라갔는데 문제는 굉장히 오르내림이 심해요. 한 40%까지 떨어지기도 하고요.

<기자>

네, 지난 주말부터 굉장히 폭등하거나 급락하거나 또 이런 롤러코스터를 보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어제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처음으로 비트코인 선물 거래가 시작되면서 가격이 요동쳤던 걸로 보입니다.

저희 취재진이 얼마나 열풍인지 보려고 서울 시내 가상화폐 거래소에 가봤더니 낮 시간 대에도 직장인들이 참 많았습니다.

대학생들도 적지 않았는데 저마다 얼마를 벌었다더라, 이런 소문이 들리고 가격이 분 단위로 요동을 치다 보니 하루 종일 수업을 못 듣겠다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아예 일상을 놔두고 투자에만 매달리는 사람을 두고 '비트코인 좀비'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앵커>

비트코인을 사고팔아서 돈을 버는 분들도 있고, 인터넷에 컴퓨터를 연결해서 수학 문제 풀듯이 이렇게 하면 채굴한다고 해서 돈이 나온다면서요?

<기자>

무슨 뜻인가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텐데, 이 비트코인은 온라인상에서 마일리지나 포인트처럼 코드로만 존재합니다. 실물이 있는 게 아니거든요.

이 암호를 풀면 그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는 건데 이걸 채굴이라고 합니다. 금 캐듯이 캐는 거죠.

저희 취재진이 전북 군산에 있는 대규모 채굴 현장에도 가봤는데요, 원래 여기가 제조업체 공장이 있던 곳인데 지금은 보시는 것처럼 컴퓨터 200대가 계속 돌면서 비트코인 코드 암호를 풀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많이 돌려야 많이 채굴할 수 있겠죠. 이 채굴업자들 얘기를 들어보니까 수익이 월 5%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다고 합니다.

또 "2천만 원 들여서 컴퓨터를 샀는데 매달 수익 100만 원 나온다." 이런 말 하는 분도 있었고요. 투자자들에게 이런 컴퓨터를 분양해주고 매달 10만 원, 20만 원씩 관리비 받는 채굴업자도 있었습니다.

<앵커>

비트코인이라는 게 말씀하신 대로 실물도 없고 저걸 관리하는 주체도 없고 하다 보니까 오르내리는 거에 있어서 피해가 생길 수도 있단 말이죠. 그래서 관리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정부 차원에서는 준비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어제(11일) 이 비트코인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포함해서 어떻게 규제할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도권 거래로 인정할 수도 없고 당연히 선물 거래도 안 된다는 입장을 확실히 한 겁니다. 미국이나 일본과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청와대도 어제 "가상화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불법 행위를 엄정하게 관리하겠다." 이렇게 밝혔는데, 아무래도 조만간 강도 높은 대책이 나오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합니다.

<앵커>

제가 앵커 멘트로도 말씀드렸는데, 모르면 아예 쳐다보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얘기도 해보죠. 어제 이 코너에서 제가 김영란법 역시 고쳐질 거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계정이 됐습니다. 그런데 이게 실제로 혜택을 본다고 했던 농민들이나 어민들이나 혹은 업계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앞서 리포트 보셨겠지만, 농·축·수산품의 선물비 상한이 1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그동안 김영란법 때문에 농가에서 매출이 떨어졌다고 반발이 심했는데 계정이 나오니까 과수농가, 화훼농가 이런 곳은 반가워했습니다.

기존에 명절용 상품 가격이 5만 원은 넘는데 10만 원을 넘지 않는 상품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한우, 인삼, 굴비 이런 경우는 상품 가격이 10만 원이 넘기 때문에 "상한 올려봐야 소용이 없다. 특정 품목은 아예 규제 대상에서 빼달라"는 입장입니다.

사실 김영란법이 반부패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도입된 법이잖아요. 그런데 이렇게 시행 1년 만에 이렇게 농가들의 반발에 떠밀리듯이 법을 개정하는 정부의 태도를 놓고 업계는 아니지만, 시민단체에서도 법 취지에 어긋나는 거 아니냐, 이런 비판적인 입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정경윤 기자 rousily@sbs.co.kr]

☞ [나도펀딩] 공부하고 싶은 아이들 학업 지원하기
☞ SBS에서 직접 편집한 뉴스 여기서 확인!

※ © SBS & SBS I&M.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