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韓·中 14일 정상회담 공동성명 채택 안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靑 “공동언론 발표문으로 대신 예정” / 사드 이견 못 좁혀… 북핵 대응도 관심

세계일보

13∼16일 중국을 국빈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베이징에서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청와대가 11일 발표했다. 하지만 양국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입장차를 감안해 정상회담 합의사항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않고 공동언론발표문만 내기로 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방중 이틀째인 14일 오후 인민대회당에서 열리는 공식환영식 참석을 시작으로 국빈방문 일정에 돌입한다. 이어 두 정상은 확대 및 소규모 정상회담을 한다.

애초 이번 회담은 지난 10월 31일 발표된 한·중 관계 정상화 관련 합의에 따른 양국 관계 복원이 본궤도에 오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합의 이후에도 중국 내에서 사드 배치에 대한 비판 여론이 수그러들지 않으며 양국 간 이견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양국공동성명도 발표하지 않게 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동성명은 없을 것”이라며 “어쨌든 아직까지 현안(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 측이 우리와 다른 입장을 표시하는 상황에서 공동성명을 낸다면 (양측 의견이) 다른 부분이 나타나야 하는 어려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이 사드 문제 탓에 공동성명을 발표하지 않기로 하며, 실제 정상회담장에서 시 주석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이를 거론할지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핵무력 완성’ 선언에 대한 양국 정상의 평가와 대응 방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향후 제반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강화해 더욱 성숙하고 미래지향적인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 가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협력을 포함해 역내 및 국제사회의 평화·안정·번영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