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美 해군 핵심 7함대 '빨간불'…북핵 사태·과도한 훈련에 사고 속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잦은 사고로 구설에 오른 미국 해군 7함대가 과도한 실전 훈련과 예산·인력·무기 부족으로 신음하고 있다고 미 CNN 방송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한반도를 포함한 서태평양을 관리하는 미 해군 최대 전력인 7함대 운용에 빨간 불이 켜진 것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과 무관치 않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미 해군은 북한발 위협이 높아진 올해 들어 벌써 160차례나 7함대 작전구역에서 다자 또는 양자 연합훈련을 수행했습니다.

이틀에 한 번꼴로 실전 연습을 한 것입니다.

이달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맞춰 로널드 레이건·시어도어 루스벨트·니미츠 등 항공모함 3척이 한꺼번에 한반도 인근 해역에 출동해 한일 군함과 펼친 초대형 연합훈련이 그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 중 로널드 레이건호는 연합훈련이 끝난 지 불과 이틀 만에 일본 해군과 오키나와에서 10일간 훈련을 이어갔습니다.

7함대가 너무 무리한 일정을 소화 중이라는 우려는 불행한 사고들로 증명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이지스 구축함 '피츠제럴드'와 8월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존 S.매케인'이 각각 상선, 유조선과 충돌해 모두 17명의 수병의 목숨을 앗아간 게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두 척의 구축함을 수리하는 비용만 수억 달러가 소요됐습니다.

올해 들어 7함대는 군함과 관련해 5건의 대형 비전투 사고를, 항공기와 관련해 2건의 사고를 각각 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여기에는 지난 22일 로널드 레이건호의 수송기 한 대가 지난 22일 일본 오키나와에서 훈련 중 추락해 3명이 실종된 사고가 포함됐습니다.

쉴 새 없는 훈련 일정에 지친 해군 병사들이 실수를 저지르거나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것이 그 원인 중 하나입니다.

피츠제럴드함의 경우 지친 승무원들이 상선을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들어왔다는 사실을 알고도 자고 있던 함장을 깨우지 않아 사고를 자초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미 해군 2인자인 윌리엄 모런 참모차장은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우리는 수요 공급의 문제를 계속 갖고 있다. 그것이 우리 군에 무거운 압력을 주고 있다"며 해군이 열악한 조건에서 과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장기간 훈련과 파병에 지친 장병들의 상당한 심리적 압박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자체 조사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일본에 주둔한 미사일 발사순양함 '실로'의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올해 8월까지 설문조사한 결과 한 수병은 "배 위에서 복무하는 게 떠다니는 감옥에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토로했습니다.

이 조사에서는 자살을 생각한다는 응답도 나왔고, 계급이 낮은 사병들은 당시 함장의 과도한 처벌을 두려워한다는 사실을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과도한 훈련이 오히려 장병들이 세밀한 기술을 연마할 교육 시간을 뺏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미국 회계감사원(GAO)은 지난 9월 보고서에서 미 군함들의 장기간 일본 주둔에서 지나친 작전 임무 수요 때문에 필수적인 핵심 교육훈련이 종종 누락되는 일이 많다고 우려했습니다.

칼 슈스터 하와이퍼시픽대 교수는 "교육 시간이 없다면 잊어버리기 쉬운 기술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군대는 축구팀과 같다.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존 펜들턴 GAO 국방역량·운영국장은 지난 9월 미 의회 청문회에 출석해 미 해군 함선들이 교육에만 전념하는 연습 시간 없이 임무 수행 시간 중에 끼워맞추기 식으로 기술 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해군 출신인 존 매케인 미 상원 군사위원장도 성명을 내 "전술적 숙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교육훈련이 더 우선순위의 작전이나 정비 지연, 재정 문제 때문에 너무나 자주 희생되고 있다"고 한탄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 해군은 조지프 오코인 7함대 사령관을 포함한 다수의 고위직을 해임하는 등 고강도 인적 쇄신에 나선 것은 물론 전략적 준비태세를 살펴보는 등 종합적인 점검 작업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유영규 기자 ykyou@sbs.co.kr]

☞ SBS에서 직접 편집한 뉴스 여기서 확인!
※ © SBS & SBS I&M.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