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美 미얀마 '인종청소' 첫 규정...중·러는 군부 편들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차예지 기자] 유럽연합(EU)에 이어 미국이 로힝야족 사태를 ‘인종청소’로 규정하고 미얀마 군부에 대한 표적제재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미얀마를 두둔해온 중국은 유혈사태의 책임자로 지목된 군부를 초청해 협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23일 외신에 따르면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전날 “철저한 분석 결과 이번 사태를 로힝야족에 대한 인종청소로 간주한다”며 “이번 사태는 엄청난 고통을 수반했으며 수십만 명의 난민을 초래했다”며 미얀마군의 로힝야 반군 소탕전을 처음으로 ‘인공청소’로 공식 규정했다.

특히 틸러슨 장관은 “미국법에 따라 사태의 책임을 추궁할 것”이라며 “수십만 명의 국경이탈 난민을 촉발한 인권 유린에 책임이 있는 자들을 겨냥한 표적제재도 이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 등은 최근 로힝야족 인종청소에 관여한 미얀마 군부 인사를 대상으로 한 제재와 비자발급 거부 등을 포함한 제재안을 발의했다.

또 유럽연합(EU)도 미얀마군과 로힝야족 간 유혈충돌을 ‘극도로 심각한’ 사태로 규정하고, 미얀마 군부와의 교류를 전면 중단했다.

그러나 중국은 로힝야족 사태에 관해 미얀마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민 아웅 흘라잉 사령관을 비롯한 미얀마군 대표단은 22일부터 중국 방문길에 올랐다.

미얀마군 대표단은 방중 기간에 중국 정부와 군 지도자들을 면담하고, 중국군의 훈련시설과 무기공장 등을 둘러보며 군사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중국은 지난 6일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거부권을 행사해 미얀마에 대한 법적 구속력 있는 결의안 채택을 막았다.

전문가들은 미얀마의 소수민족 문제가 중국에 전이되는 것을 막고,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구상 등과 관련해 미얀마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라고 풀이했다.

그 뿐만 아니라 니콜라이 리스트파토프 주미얀마 러시아 대사는 “(미얀마군의 행위를 인종청소로 규정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미국에 반대되는 행보를 보였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