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일자리-구직자 연결 '온라인 상봉 시스템' 도입"(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기반 구직자-기업 연결 첫 채용박람회 개최

우수 중소·중견기업 106곳 참가…구직자 5천여명 몰려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중소·중견기업의 일자리 정보와 구직자들의 정보를 매칭해 연결해주는 '온라인 상봉 시스템'이 정부 차원에서 도입될 전망이다.

이용섭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7 리딩 코리아, 잡 페스티벌'에서 축사를 통해 "구인·구직 정보를 빅데이터로 만들어 온라인상에서 이를 매칭하는 '온라인 상봉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 유명 기업은 이미 인공지능(AI)을 채용 과정에 도입하고 있다"며 "미국 IMB은 AI를 이용해 300만개가 넘는 지원서류 검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고, 영국 유니레버도 채용 중간단계를 AI가 담당하고 인사 담당은 최종 면접에만 개입해 채용 과정이 더 빠르고 정확해졌다"고 말했다.

이 부위원장은 "현재 우리나라에는 높은 청년실업률과 중소기업 인력부족이라는 모순된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며 "좋은 중소·중견기업에 좋은 일자리가 충분히 있음에도 청년들이 이를 알지 못하거나 기피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큰 비효율"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2017 리딩 코리아, 잡 페스티벌'
(서울=연합뉴스)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7 리딩 코리아, 잡 페스티벌'에서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왼쪽 다섯번째),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왼쪽 네번째) 등이 개막식 행사로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2017.11.20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이날 박람회는 국내 최초로 AI 기반의 잡매칭 시스템이 적용됐다.

온라인 역량평가 등을 통해 구직자 정보를 사전에 분석한 뒤 이에 적합한 기업을 찾아내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이달 3일부터 2주간 총 3천364명의 구직자가 온라인 통합 역량검사를 받은 결과, 1인당 평균 6.5개 기업, 총 2만2천건이 매칭됐다. 이 가운데 현장에서 1천800여건의 심층면접이 진행됐다. 사전 매칭 없이 즉석에서 이뤄진 현장 면접은 2천여건에 달했다.

박람회에는 '월드클래스 300' 기업을 포함해 우수 중소·중견기업 106개사가 총 1천351명 채용을 목표로 참가했다. 월드클래스 300은 세계적 기업 300개를 키운다는 목표 아래 2011년부터 정부가 매년 우수 중견·중소기업을 선발하는 프로젝트로, 현재까지 총 261개 기업이 발굴·육성됐다.

박람회에는 대학생과 고교생 등 구직자 5천명 이상이 참가했다.

마이다스아이티, 경동나비엔 등 인지도가 있는 중견기업 부스 앞에는 검은색 정장을 입고 면접을 기다리는 참가자들의 줄이 길게 이어졌다.

올해 8월 대학교를 졸업한 심현주(25·여) 씨는 "온라인 역량평가를 통해 어떤 기업이 내게 적합한지 추천을 받았고 그에 따라 현장면접을 치렀다"며 "역량평가를 통해 내가 어떤 직무와 잘 맞는지 알 수 있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대학교 졸업 예정자인 김현중(25) 씨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취업 정보를 모아놓은 사이트가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정보가 부족하다"며 "이런 채용박람회가 기업들을 파악하는 기회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7 리딩 코리아, 잡 페스티벌'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gatsby@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