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여적]기생충과 빈부격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생충을 뜻하는 영어 단어(parasite)는 ‘다른 이의 음식상을 빼앗아먹는 사람’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됐다. 다른 사람이나 동물의 영양분을 빨아먹고 산다는 얌체 습성이 부각되고, 그 생김새마저 혐오스러우니 ‘기피생물’이라는 지탄을 받았다. 회충은 하루에 20만개의 알을 낳는다. 옷, 잠자리, 먹을 것, 즉 의식주를 다 해결할 수 있으니 오로지 ‘생산’에만 전념한다. 사실 회충의 몸 대부분이 생식기다. ‘얌통머리 없는’ 미물이다.

1950년대 한국군인 환자의 배에서 양동이 하나를 가득 채울 정도의 회충을 빼냈다는 기록이 있다. 1963년에는 더욱 경악스러운 사건이 터졌다. 병원 응급실로 실려온 9살 여아의 배 속에서 무려 1063마리의 회충이 우글거렸다. 여아는 결국 숨졌다. 기생충의 오래된 특징 중 하나는 숙주인 사람의 귀천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고대 이집트 유적에서 확인된 왕의 미라는 물론이고 일반 백성의 미라에서도 어김없이 회충알이 검출됐다. 인분 비료를 준 채소를 먹은 모든 사람은 배 속에 기생충 몇 마리쯤은 키웠을 것이다.

1900년대 중반부터는 전 세계에서 ‘기생충 박멸작전’이 벌어졌다. 기생충학자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의 표현대로 ‘기생충 평등주의’가 무너져버렸고, 기생충은 어느덧 ‘가난한 나라의 질병’으로 남게 되었다. 제대로 먹지도 못한 사람의 몸속에서 그 얼마 안되는 영양분까지 탈취해버리는 ‘치사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몸에서 수십마리의 기생충이 우글거렸다는 보도가 있었다. 27㎝ 회충의 크기에 집도의조차 크게 놀랐다고 한다. 그러나 회충은 보통 25~30㎝까지 자라기 때문에 27㎝는 유별한 크기는 아니다. 외과의사도 놀랄 만큼 기생충이라곤 보기 힘든 요즘의 세태를 반영하는 대목이다. 북한군 병사는 인분 비료를 쓴 채소를 섭취했을 것이다. 북한군 병사의 몸이 깡말랐다니 이 회충이 병사의 영양분을 빼앗은 탓이리라. 불현듯 1960~1970년대 학창 시절의 기억이 떠오른다. 해마다 학교제출용 검사용 분변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까 곤혹스러워했던…. 남과 북한의 시간은 따로 흘러가고 있는 것 같다. 판문점 경계선은 시간을 뛰어넘는 선일까?

<이기환 논설위원>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