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청년 고용절벽 해소,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가 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고| 이진석 교육부 대학정책실장

조선일보

현재 우리나라는 저성장 기조가 계속되고 높은 청년 실업률과 양질의 일자리 부족 상황에도 직면하고 있다.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화, 공급자 중심의 인력 양성 등의 문제가 오랜 기간 누적되고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이와 동시에 사물인터넷(loT)·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초연결성에 기반을 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새로운 인재 양성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 문제 해소와 4차 산업혁명 대응에 국가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일자리 위원회와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해 범정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육부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추진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 사업'이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과 교육 체제 혁신 방안으로 목표하는 역점 사업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발표한 한국 저성장에 대한 분석 보고서(디지털화: 대한민국 차세대 생산 혁명의 동력)에서 '교육 기관과 기업 간 관계를 강화하고 기량 불일치를 줄이는 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하면서 '교육 기관은 기업을 전공 교육과정의 설계와 수용 과정에 참여시키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라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사회맞춤형 학과 교육 과정은 대학 내에 산업체 현장과 유사한 실습 환경을 구축하고, 대학과 산업체가 공동으로 개발한 교육과정과 현장 전문가의 직접적인 교육 참여를 통해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 사업의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은 OECD 제언에 충실히 부합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대학의 이론 교육에 산업체의 현장 경험을 접목하고, 교육과 직무 훈련(training)을 병행하면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고급 인력을 양성한다. 만일 지역 소재 중소·중견 기업에 사회맞춤형학과 교육과정으로 키워낸 인력을 공급한다면, 독자적인 기술 개발 능력을 갖춘 강소 기업으로서 경쟁력을 향상하고 지역 발전과 일자리 부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체 전문대학 138개교 중 95개교가 수도권 외 지역에 위치하고 전문대학 졸업생의 지역 산업체 정착률이 77%에 달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는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사회 발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학이 산업계와 활발하게 교류하지 않으면 급속한 산업 변화의 흐름을 놓친 채 현실과 동떨어진 학문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 산업 변화의 주기와 속도가 더욱 빨라질 미래에 교육 기간이 짧은 전문대학의 강점을 살릴 필요가 있다. 즉, 전문대학이 현장과 밀착된 실용적인 교육을 통해 핵심 기반 고숙련 기술 인력을 적기에 양성하고 공급하면 사회적 경쟁력도 배가할 수 있을 것이다.

2017년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 사업 참여대학으로 선정된 44개교를 통해 사회맞춤형학과 우수 모델을 만들고 성과를 공유해 성공적인 전문대학의 직업 교육 모델이 사회에 안착하길 기원해 본다.-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