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과학위원회의 카이스트 국정감사에서 서남표 총장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정감사는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에 대한 국정감사를 방불케 했다.
이용석 의원(민주통합당)이 “새누리당 의원들께서 과학기술에 대한 국정감사보다는 안철수 후보를 국정감사하기로 마음을 먹은 것 같다”라고 말할 정도다.
첫 질의자로 나선 민병주 새누리당 의원은 “안 후보의 두 논문이 일반인이 봐도 표절 수준을 넘어 복사본 수준”이라며 “이는 연구비 지침을 위반하고 연구비를 부당 수령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하루 전 메일로 이승종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에게 표절인지 아닌지 확인해 달라는 자료를 보냈다. 국감장에 나온 이 이사장에게 민 의원은 “학자의 양심을 걸고 이것이 표절인지 아닌지 대답해 달라”라고 요구했다.
이어 민 의원은 서남표 총장에 대한 질의에서 "안 후보를 세계적 석학이라고 보느냐"라고 추궁하며 "논문 6개로 석학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민 의원은 “보내 준 서면자료에 보면 안 교수는 연구활동을 통한 논문은 미비하지만 다수의 저서를 냈다고 했는데, 3년 교수 활동하며 5권 저서 활동한 것이 일반적인 교수의 기준인가”라고 물었다. 서 총장이 “그렇게 보지는 않는다”라고 답했다.
이에리사 의원(새누리당)은 "안철수 후보의 교원 지원서를 2008년 3월 1일 접수했는데, 교수 임용에 보통 6개월이 걸린다“라며 ”300억 기부를 약속한 정문술 미래산업 고문이 안 후보를 교수로 추천한 바로 다음날 석좌교수 인사 규정이 개정됐다“라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안 교수가 세계적 석학이었나”라고 추궁하며 “특정인을 타깃으로 해서 교수임용을 하고 적법한 절차를 생략한 것인데, KAIST는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이 “교수를 채용한 뒤 석좌기금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묻자 서 총장은 “설치에 앞서 돈(기금)은 먼저 들어왔다”고 해명했다.
박인숙 의원(새누리당)은 “카이스트가 김미경 부교수(안철수 후보 부인) 임용과정에서 허위경력을 묵인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서 총장에게 “김미경 교수가 카이스트 임용 때 제출한 원서를 보면, 1994년 성균관대 의과대학에서 7년 11개월 동안 부교수로 재직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그 중 2년 6개월은 교수가 아니라 그냥 의사(전문의), 3년 6개월은 조교수, 마지막 1년 7개월만 부교수로 재직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교수임용 당시 경력을 허위로 작성한 사실을 인정하느냐”고 따져 물었다.
박 의원은 또 “김 교수가 7호봉 부교수 대우를 받았는데 사실은 단국대와 성균관대에서 병리학과 교실의 조교수와 부교수 기간을 합해 8년 경력이 전부”라며 “전공이 바뀌었는데 온전히 경력을 인정해 줄 수 있는가”하고 추궁했다.
박 의원은 “이같은 특혜는 결국 안철수 교수를 임용하기 위한 ‘끼워팔기 특채’가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