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대선 1주년 앞두고 재등장한 힐러리 클린턴 '이메일 스캔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나섰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이메일 스캔들’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지난해 수사 종결을 선언했던 미 연방수사국(FBI)이 그 배경에 대한 내부 자료를 4일(현지시간) 상원 법사위원회에 제출한 것이다. 이메일 스캔들은 클린턴 전 장관이 장관 재임 시절 이메일 서버를 구축하고, 국가기밀을 포함한 공문서를 주고받았다는 혐의이다.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FBI가 제출한 서류엔 수사 종결 이유와 클린턴 전 장관을 불기소하기로 방침을 정한 구체적 시기 등이 담겨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FBI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크리스토퍼 레이 국장이 이끌고 있다. FBI의 관련 자료 제출은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받아들인 모양새여서 논란이 될 수도 있다. ‘러시아 스캔들’ 수사 강화로 어려움에 봉착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이 이메일 스캔들 수사를 서둘러 종결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법무부와 FBI, 의회의 조사를 촉구했다. 상원은 법사위 차원에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대선에서 이메일 스캔들 수사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코미 당시 FBI 국장은 이메일 스캔들과 관련해 지난해 7월 불기소 의견을 발표했다고, 대선을 열흘 남짓 앞두고 재수사 방침을 천명했다. 대선을 수일 앞두고는 무혐의 처리했다. 코미 전 국장의 행보는 공화·민주 양당 모두의 불만을 샀다. 클린턴 전 장관은 FBI의 행보를 대선 패배의 결정적 원인으로 지목했다. 지지층의 투표의지를 약화시키고, 트럼프 지지자들의 투표 행렬을 독려했다는 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의 눈치를 살피던 코미 전 국장이 정치적 행보를 펼쳤다는 시선을 거두지 않았다.

한편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이 불거지기 수년 전부터 러시아에 서버를 둔 해커들이 트럼프 대통령 가족과 사업체의 인터넷 계정을 해킹해 왔다고 AP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AP에 따르면 이들 해커들은 2013년 무렵부터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계정 195개를 해킹했다. 해킹 주체와 의도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백악관과 트럼프그룹은 이번 보도와 관련해 특별한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워싱턴=박종현 특파원 bali@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