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요란했던 '러시아 스캔들' 美의회 조사, 내년초 흐지부지 끝날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원 정보위원장 "내년 선거 일정상 2월 마무리"

스캔들 조사한 상·하원 4개 상임위 지도부 회동 추진

연합뉴스

美대선과 푸틴
[연합뉴스TV 제공]



(워싱턴=연합뉴스) 강영두 특파원 =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선 캠프와 러시아 간 내통 의혹을 규명하겠다고 나선 미 의회가 별다른 성과 없이 내년 초 조사를 종결할 것으로 보인다.

27일(현지시간)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리처드 버(노스캐롤라이나) 상원 정보위원장은 러시아 스캔들 조사를 내년 2월께 끝내는 방안을 소속 의원들에게 제안했다.

공화당 소속인 버 위원장은 "정치 일정의 수학적 방정식"에 따른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내년 11월 연방 상·하원 선거(중간선거)를 맞아 연초부터 각 당에서 후보자 경선(프라이머리)이 실시되기 때문에, 조사를 계속하더라도 '연임'이 발등의 불인 의원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는 것이다.

상원 정보위는 지난 9개월 동안 폴 매너포트 전 선대본부장, 트럼프 사위인 제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 등 100여 명의 증인을 면담하고, 10만 쪽이 넘는 자료를 살폈으나, 러시아의 트럼프 측 선거운동 관여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보위는 여전히 다수의 조사 대상 리스트를 갖고 있지만, 현 수준에서 서서히 조사를 마무리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폴리티코는 내다봤다.

버 위원장은 이 매체 인터뷰에서 "만약 '뭔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면 그것은 탄로가 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증거가 없다면 어떻게 조사 중단에 반대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러시아 스캔들 조사를 서둘러 마무리하고 싶은 심정은 435명 의원 전원이 중간선거 대상인 하원이 더 강해 보인다.

하원 정보위 위원장 격인 마이크 코너웨이(공화·텍사스) 의원은 러시아 스캔들을 조사해온 상·하원 정보위와 법사위 등 4개 상임위의 위원장·간사 회동을 추진 중이다.

코너웨이 의원은 '미 정보기관의 트럼프 인수위 사찰' 주장을 펴다가 오히려 백악관 연루설에 휘말려 데빈 누네스(캘리포니아) 위원장이 러시아 스캔들 조사에서 하차하면서 위원장 역할을 하고 있다.

4개 상임위가 서로 상충하는 조사 보고서를 내놓을 경우 혼선만 가중되는 만큼 사전 조율을 거치자는 게 그의 의도다.

코너웨이 의원은 "우리는 상원보다 먼저 조사를 마치고 싶다"며 "(상임위마다) 아주 다양한 결론이 나온다면 의회를 난처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원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애덤 쉬프(캘리포니아) 의원도 4개 상임위 지도부 회동과 러시아 스캔들에 대한 '초당적' 결론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쉬프 의원은 "솔직히 각 상임위 조사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보다는 4개 상임위가 함께해 나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통 의혹이 사실로 규명되길 바라는 민주당은 물론, 이와는 반대 입장인 공화당 내에서도 러시아 스캔들에 대한 의회 차원의 규명이 유야무야해선 안 된다는 반론이 적잖아 향후 상황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폴리티코는 지적했다.

k027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