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충남도, 생물 서식지 복원·생태놀이터 조성에 1000억 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성·예산=뉴시스】유효상 기자 = 충남도가 앞으로 10년 동안 1000억 원을 들여 생물 서식지를 복원하고 생태놀이터 를 조성한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충청남도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을 수립, 본격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은 향후 10년 동안의 여건 변화에 맞는 새로운 정책 수단 마련 필요성에 따라 세운 것으로, 10년 주기 법정 계획이다.

도는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생태 고향 충남’을 이번 실천계획의 비전으로 잡았다.

중점 과제는 자연환경 데이터베이스(DB) 지속적 유지·관리, 중요 야생동물 지속 관리,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사는 생태 공간,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 등이다.

세부 실천 과제로는 생태지도(비오톱) 작성(갱신), 소규모 마을 습지 인벤토리 구축, 멸종위기 야생 생물 및 서식지 보호·관리 강화, 생태계 교란종 퇴치 등 외래 생물 관리 철저 등을 설정했다.

또 도심 내 자연생태 휴식 공간 확충, 생태·경관 보전 지역 지정, 생태계 서비스 사업 발굴 및 생태 관광 지역 육성, 주요 서식지 복원 및 조성을 통한 관리, 멸종위기·희귀 야생 생물 서식지 토지 매입 등 관리 등도 세부 실천 과제로 세웠다.

이 중 생태지도 작성은 기존 구축 자료에 야생생물 분포도와 현존 식생도 등의 자료를 포함한다는 내용이다.

중요 야생 생물 서식지 복원은 조·수류 먹이처, 휴식처 조성, 습지·인공섬 조성, 금개구리·맹꽁이 등 양서류 서식지 보전 대책 마련, 담비·삵 등 멸종위기 포유류 서식 산림 면적 유지 및 밀렵 단속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심 내 자연 생태 휴식 공간 확충은 녹지가 부족한 구도심 지역 유휴 자투리 땅을 활용하고, 생태·경관 보전 지역 지정은 원시성을 갖고 있거나 멸종위기종 집단 서식지 등 보호 가치가 큰 하천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한 투입 예산은 올해 88억800만 원, 내년 114억4200만 원, 2019년 182억100만 원, 2020년 183억4100만 원 등 2026년까지 10년 동안 1059억3600만 원이다.

신동헌 도 기후환경녹지국장은 “이번 실천계획은 각종 난개발과 기후변화로 야생생물 서식처가 파괴되고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룬 현명한 환경 정책 추진 필요성에 따라 수립했다”라며 “실천계획을 토대로 도내 자연 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함으로써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도민 삶의 질을 높여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실천계획은 도 정책자문위원회 기후환경녹지분과 자문과 시·군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수립했으며, 다음 달 중 환경부와 시·군에 수립 내용을 통보할 계획이다.

yreporter@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