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지지율 1위 민주당의 고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등 야3당 간 합종연횡 움직임이 구체화하면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향후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권발 정계 개편 시나리오로는 한국당과 바른정당 간 보수 통합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간 통합이 꼽힌다. 민주당이 국민의당에 비공개로 제안한 '정책 연대'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야당이 합종연횡할 경우 민주당으로선 정기국회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얻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하면 보수·영남 정치 세력이 하나로 뭉치는 만큼 민주당으로선 진보·호남 정치 세력의 구심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보수·영남에 맞서 진보·호남 진영 역시 뭉쳐야 하는 만큼 이 과정에서 국민의당은 영향력을 상실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19대 국회처럼 거대 양당 구조로 복귀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민주당 입장에서는 정국을 풀어나갈 해법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로 19대 국회에서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현 한국당)은 과반에 육박하는 의석수를 가지고 있었지만, 협치의 실마리를 찾지 못해 입법 정국 때마다 고전을 면하지 못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121석을 가진 현재 구도에서는 입법 성과물을 얻기 쉽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통합 시나리오가 진행돼도 민주당은 진보·호남 제1당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에 반발한 호남 민심을 바탕으로 탄생한 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 손을 잡는 것만으로도 호남 맹주 대결에서 민주당이 승리했다는 해석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러나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정당이 탄생하면 정책 사안별로 국민의당과의 '핀포인트 협력'을 기대하기가 불가능해진다는 점이 민주당의 고민이다. 여기에 신생 정당이 존재감을 부각하기 위해 정부·여당 정책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면 야권과의 관계가 불편해질 수밖에 없다.

다만 어떤 시나리오로 정계 개편이 이뤄지더라도 민주당이 지지율 과반에 육박하는 여당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는 만큼 이를 바탕으로 개혁 작업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문재인정부 지지율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만큼 지방선거 전까지 국민 설득에 주력한 뒤,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둬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려는 방향으로 정국을 풀어갈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