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사자방'에 갇힌 해외자원개발…2차전지까지 발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침체된 해외자원개발 사업으로 2차전지업계도 시름하고 있다. 2차전지의 원할한 생산과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리튬과 니켈, 코발트 등 광물자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들 광물에 대한 국내 투자는 이른바 MB(이명박) 정권의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산) 비리’의 후폭풍으로 한걸음도 내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8일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2차전지의 주요 원재료 중 하나인 코발트 가격(17일 코발트메탈 LME CAHE 99.3규격 기준)은 t당 6만250달러로, 1년전 2만8500달러 대비 무려 2배 이상(111.4%) 급등했다. 다른 원재료들의 상황도 비슷하다. 같은 기간 리튬(탄산리튬 규격 99 기준)은 1㎏당 112위안에서 152위안으로 35.7% 올랐고, 니켈(LME CASH 기준) 역시 1t당 1만335달러에서 1만1675달러로 13% 인상됐다.

◇자원 확보 전쟁은 이미 격화

전세계적으로 2차전지 관련 광물 가격이 이같이 급등세를 이어가면서 이를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공세도 격화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전기차 시장 선점에 정부 차원에서 공을 들이고 있으며 고용량 배터리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원재료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티앤치는 세계 최대 리튬 광산인 호주 탈리슨 지분 51%를 인수하며 경영권을 넘겨받았고, 간펑리튬 역시 호주 마리온 리튬광산 개발 프로젝트 최대 주주다. 중국 전기차 업체인 BYD는 중국 내륙 리튬광산 개발에 나선 상황. 이외에도 중국 저장화유코발트와 자회사 콩고둥팡광업 등은 콩고 코발트 광산의 지분을 대거 사들이는가 하면 파푸아뉴기니 라뮤니코(RAMU NICO) 광산에 투자해 니켈 중간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다.

이와 함께 독일 바스프(BASF)는 최근 러시아 노르니켈(NORNICKEL)과 니켈 원료 공급에 대한 계약을 맺었고 일본의 스미토모메탈마이닝(SUMITOMO METAL MINING)은 이미 광산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업체는 마다가스카르의 암바토비 니켈 광산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기도 하다.

반면 국내 2차전지 업체들의 코발트, 리튬 등 자급률은 0%이다.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종합상사들 역시 관련 광물에 대한 투자는 현재까지 전무한 상황이다. 현재의 광물가격 상승세가 지속 이어지거나 특정 업체가 시장지배력 및 가격 결정권을 쥐게 될 경우 수익성 악화 및 원료 조달 차질 등을 빚을 가능성마저 높아졌다.

◇정부는 오히려 적폐 공세…“일관된 정책 없다” 우려

관련 업체들은 일단 재료 공급업체와의 장기계약(LTA) 등을 통해 가격 경쟁력 확보에 나서는 한편, 뒤늦게라도 광산 확보를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녹록치 않다. 현재 삼성SDI(006400)는 지난 8월부터 칠레 리튬 광산의 채굴·가공 사업권 입찰에 참가했다. 내년 초 최종 사업자 선정 예정이다. 포스코(005490) 역시 최근 광양제철소에 고순도 리튬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현재는 자원확보를 위해 광산 투자를 지속 검토 중에 있다. LG상사(001120)의 경우 연초 녹색광물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을 밝혔지만, 아직 구체적인 대상 광물 및 투자 방안은 정해지지 않았다.

관련 업체들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특성상 정부의 확고한 지원 의지가 없는 이상 민간기업으로만 투자를 이어가기 쉽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원개발의 특징상 막대한 자본과 함께 수익을 내기까지 오랜 시간이 투입되기 때문에 보통의 민간기업 혼자 이같은 리스크를 감당하기가 어렵다”며 “한국광물자원공사와 같은 공기업들이 민간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에 적극 나서줘야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같은 공기업들이 과거 해외자원개발 비리와 얽혀 여전히 소극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에게 해외자원개발은 선택이 아닌 필수지만 현 정부와 정치권의 적폐 규정에 따른 공세로 공기업 뿐 아니라 관련 사업을 벌이는 민간기업 역시 투자심리가 매우 위축돼 있다”며 “자원개발은 단시안적 성과를 내는 사업이 아닌만큼 정권이 바뀌더라도 일관된 정책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이뤄져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