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미국-러시아 "언론이 공작원" 서로 제재 협박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박인영 기자 = 지난해 러시아의 미국 대통령선거 개입 의혹을 둘러싸고 양국 관계가 급랭한 가운데 러시아가 자국서 활동하는 미국 언론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예고하고 나섰다.

이는 미국 정부가 지난달 러시아 영어방송 채널과 뉴스통신사를 러시아 정부의 선전 매체로 간주하고 규제 움직임을 보인 데 따른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어 방송 채널 '커런트 타임'을 인용, 러시아 법무부가 이 채널을 외국 정부의 선전을 담당하는 외국 대행사로 분류한다고 통보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법무부는 방송사에 통보하면서 자국법에 따르면 러시아 언론의 보도에 제약을 가하는 국가의 언론사를 제약하는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연합뉴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자료사진]



FT는 러시아 법무부의 이러한 조치는 미국 정부가 자국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정부 지원 언론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러시아 측이 이에 대한 대응을 고민하던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러시아의 정부 선전 영문매체인 방송 채널 RT와 관영 통신사 스푸트니크를 외국대행사등록법(FARA)의 제약을 받는 외국 대행사로 등록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연방수사국(FBI)이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에 스푸트니크와 RT의 연루 가능성을 포착해 수사를 진행하면서 양 매체에 대한 규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FT는 RT와 스푸트니크가 미국에서 외국 대행사로 등록하게 되더라도 실제로 활동하는 데 별다른 영향은 받지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스푸트니크의 모회사인 러시아 관영 리아노보스티 통신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미국에서 외국 대행사로 등록됐었다.

그러나 이런 상황과 무관하게 러시아 정부는 자국 내 미국 매체에 대한 보복 조치를 예고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관련법에 따라 자유유럽방송(RFE)이나 미국의소리(VOA)방송 등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매체뿐 아니라 민간 매체에 대한 규제도 가능하다고 지난 8일 밝힌 바 있다.

러시아 상원 국제문제위원회 부위원장 안드레이 클리모프는 러시아 사법당국에 RT를 겨냥한 미국의 "행정조치와 선전"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출할 것을 주문한 상태다.

클리모프 의원은 러시아 내에서 활동하는 미국 매체의 수를 미국에서 활동하는 자국 매체 수 이내로 제한하는 방안을 언급했다.

mong0716@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