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日기업들의 연이은 비트코인 채굴 선언,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을 신규수익원으로 인식

中규제 틈타 시장 영향력 확대 의도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비트코인 채굴 사업에 일본 기업들이 잇따라 진출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고려하고 있는 만큼 시장 내 목소리를 키우겠다는 것이다.

2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가상화폐 사업 업체 SBI홀딩스와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GMO인터넷, DMM.com 등이 비트코인 채굴에 참가하겠다는 계획을 확정했다. 인터넷증권회사 마넥스그룹도 동참하는 방향으로 결정을 굳혔다.

SBI홀딩스는 지난 8월 비트코인 채굴만을 위한 SBI스크립트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전기료가 싼 해외에서 채굴 작업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GMO인터넷도 자체 개발한 컴퓨터를 활용해 내년 상반기부터 북유럽에서 비트코인 채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북유럽에 전문 시설을 구축하면 저렴한 가격에 신재생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기온이 낮아 컴퓨터의 발열도 억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DMM도 100억엔 규모의 설비투자를 예고했으며, 마넥스그룹은 비트코인 채굴과 더불어 자체 가상화폐 발행을 검토 중이다.

일본 내 해외통화선물(FX) 및 주식 투자자 상당수가 가상화폐로 투자처를 옮기고 있는 만큼 시장 내 영향력을 키우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일본은 비트코인 거래량 기준으로는 현재 세계 1위지만 영향력은 높지 않다.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서다. 중국 채굴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은 70%를 상회하며, 상위 9개 기업 중 8곳이 중국 업체다. 나머지 한 곳도 일본 기업이 아닌 체코 기업이다. 신문은 “지난 8월 비트코인을 두 개로 쪼개야 한다는 분쟁이 일어났을 때 중국 채굴자들의 힘은 막강했지만 일본은 아무런 말도 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채굴자는 시장을 주도하는 한 축으로 규칙 변경 등 시스템 운영 전반에 강력한 발언권을 행사할 수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과 비슷하다. 기타오 요시타카 SBI홀딩스 사장은 “중국이 강력한 발언권을 가지는 현 상황을 해결할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은 최근 중국 정부가 비트코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을 기회로 보고 있다. 연초까지만 해도 전세계 가상화폐 거래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90%를 웃돌았으나, 중국 정부의 규제가 시작되면서 10% 수준으로 급락했다. 중국 정부는 올 들어 위안화 약세를 막겠다며 개인의 외환투자에 상한선을 설정했다. 또 지난 3월엔 비트코인 거래소들에 고객 신원을 확인하고 은행 규제를 준수토록 명령했다. 급기야 이달 초엔 가상화폐의 주된 자금 조달 방식인 신규가상화폐공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비트코인 거래소 영업을 중단시켰다.

비트코인 채굴은 복잡한 암호로 된 수학 문제를 풀어야 얻을 수 있다. 2140년까지 2100만개만 채굴이 가능하며 최근까지 생산된 비트코인은 1650만개 안팎이다. 비트코인이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지난 2013년까지만 해도 일반 PC 1대로 5년을 투자하면 암호를 풀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더 오래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채굴된 비트코인 양이 많아질수록 문제를 풀기 어려워지는 구조여서다.

중국 업체들은 값싼 전기료를 등에 업고 PC를 대량 배치하는 이른바 ‘공장’ 형태로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있다. 일본 기업들이 구축하겠다는 전문 시설도 이같은 공장을 뜻한다. 개인 투자자들의 경우 여러 명이 힘을 합친 ‘채굴 풀(mining pool)’ 방식으로 참여한다. 자신의 컴퓨터가 암호 해독에 기여한 만큼 비트코인을 나눠 받는 식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