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청렴 교육감 무색'…광주교육청 징계 늘고 청렴도 최하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교육비리 근절'과 '청렴'을 앞세운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이 취임한 이후 공무원 징계 건수가 늘고 청렴도 순위는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광주시의회 제261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질의에 나선 유정심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장 교육감이 취임해 개방형 감사관 내정 직후인 2011년 강도 높은 감사와 청렴 정책 시행으로 파면 1명·해임 4명·강등 1명 등 모두 79명의 교육공무원 징계처분이 이뤄졌다.

2013년 25명으로 급감해 청렴 정책이 안착한 듯하다가 이후 징계건수가 지속해서 증가해 2014년 33명·2015년 41명에 이어 2016년에는 장 교육감 취임 이후 가장 많은 80명으로 오히려 급증했고 2017년에도 현재까지 43명에 이르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시교육청 전경. [광주시교육청 제공=연합뉴스]



특히 금품수수·성 관련 비위·음주 운전에 따른 징계는 매년 반복되고 있어 근절 대책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금품수수에 따른 징계는 2011년 해임 2명·정직 5명의 징계처분에 이어 2012년 파면 2명, 2013년 해임 1명·정직 2명, 2017년 해임 2명 등으로 계속됐다.

음주 운전도 매년 반복됐다.

2010년 음주와 무면허 각 1명씩 2명을 비롯해 2011년 4명·2012년 14명·2013년 12명·2014년 13명·2015년 11명·2016년 43명·2017년 현재까지 21명 등 장 교육감 취임 이후 모두 120명이 음주 운전으로 징계처분을 받았다.

성 관련 비위에 따른 징계도 2011년 파면 1명 등 2명, 2012년 해임 3명 등 4명, 2013년 파면 1명 등 2명, 2014년 파면 1명·해임 1명·정직 1명 등 3명, 2015년 파면 1명·해임 3명·정직 2명 등 6명, 2016년 해임 2명·정직 3명 등 7명, 2017년 해임 4명·정직 2명 등 6명에 달했다.

2010년 이후 성 관련 비위로 파면이나 해임의 중징계를 당한 경우만 30명에 이른다.

또 국민권익위원회가 2016년 12월 7일 발표한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광주시교육청은 종합청렴도 7.23으로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했다.

장 교육감이 취임한 2010년 8위였던 종합청렴도가 하위권인 10∼12위권에 머물다 2015년 3위로 급등했으나 2016년에 최하위를 기록해 전년도 급등을 무색하게 했다.

2016년의 종합청렴도 최하위 기록은 금품수수·음주 운전·회계질서 문란 등으로 모두 80명의 징계처분을 당한 것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유 의원은 "장 교육감의 청렴 정책 의지는 광주시민 모두 이해하고 인정하고 있다"며 "일부 교육공무원의 무책임하고 부도덕한 태도로 매년 반복적으로 징계처분을 받고 있어 구체적으로 개선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이에 대해 "금품수수·음주 운전·성범죄 등 비위 행위에 대해서는 일벌백계하고 징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령 개정 등에도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부패 관행 문화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청렴 의식을 고취해 투명하고 깨끗한 광주교육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kjsu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