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제2·제3의 유관순열사 찾는다…여성 독립유공자 발굴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훈처, 의병 등 발굴 노력도 강화…국무회의 보고

연합뉴스

정부세종청사 국가보훈처 건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국가보훈처가 일제강점기 여성 독립운동가를 찾아내는 노력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보훈처는 19일 "후손이 없거나 사회적 차별로 실태 파악도 제대로 못했던 여성 독립운동가를 집중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피우진 보훈처장은 이런 내용을 이날 국무회의에서도 보고했다.

보훈처는 3·1 독립만세운동뿐 아니라 제주 해녀 항일운동, 광주 학생운동 등 여성 독립운동가의 활약이 두드러진 독립운동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보훈처는 "남성 독립유공자의 제적원부를 전수 조사해 여성의 인명을 밝혀내고 독립운동 기여나 활약상을 역추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한말 일제에 맞서 싸운 의병을 찾아내는 노력도 강화된다.

보훈처는 "무명의 의병 순국자와 참여자를 대대적으로 발굴할 것"이라며 "개인 문집, 향토 사료, 일제 자료 등을 분석하고 다수의 의병이 순국한 지역을 집중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훈처는 여성 독립운동가와 의병 등 독립유공자 발굴을 강화하기 위해 민·관 합동 협의체를 만들고 독립운동 연구기관인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보훈처가 독립운동가 발굴에 힘을 쏟기로 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와 광복절 경축사 등에서 독립운동가 발굴과 예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 100주년인 2019년에는 새로 발굴한 다수의 독립운동가를 유공자로 포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밖에도 보훈처는 일제강점기 판결문, 범죄인 명부, 수형 기록을 포함한 자료를 전수 조사함으로써 독립운동가를 한 명이라도 더 찾아낸다는 방침이다.

또 일정 수준 이상의 수형 등 일제의 사법적 제재를 중심으로 한 현행 유공자 포상 기준을 재검토해 수형 기록이 없어도 독립운동을 한 경우 포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ljglory@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