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결사유격대 호국영웅, 故한진홍 일병 66년만에 '귀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원도 인제에서 북한 빨치산 토벌하다가 전사

CBS노컷뉴스 권혁주 기자

노컷뉴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故 일병 한진홍님 유가족 대표에게 전달한 '호국의 얼 함' 모습. 호국의 얼 함에는 국방부 장관 위로패, 유해수습 시 관을 덮은 태극기, 유해발굴 시 함께 수습된 유품(만년필, 구두 주걱이 달린 열쇠고리, 단추)이 포함되어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강원도 인제에서 북한 빨치산을 토벌하다가 전사한 '호국영웅'의 유해가 전사한지 66년여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19일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고(故) 한진홍 일병(당시 21세)의 아들 한윤식(68·경남 합천군)씨의 자택 인근 마을회관을 방문해 전사자 신원확인 통지서와 국방부장관 위로패, 유해수습시 관을 덮었던 태극기, 발굴 유품 등을 전달하는 '호국영웅 귀환행사'를 했다고 밝혔다.

육군직할 결사유격대 13연대 소속이었던 한 일병은 1951년 2월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저항령 일대에서 북한 빨치산을 공격하던 중 적의 총탄에 전사했다.

유해발굴단 창설 이후 결사유격대로 참전한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지난 2000년 유해 발굴의 첫 삽을 뜬 이후 122번째로 전사자 신원이 확인됐다.

1930년 경북 경주시 산내면 의곡리에서 2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한 일병은 1950년 3월 결혼 후 아들을 낳아 행복하게 살다가 이듬해 1월께 21세의 젊은 나이로 경주 본적지 마을에서 친구들과 함께 징집되어 육군 직할부대 결사유격대에 입대했다.

육군 정보학교 입소 후 결사유격대 13연대로 배치된 고인은 1951년 2월 초 북한군 후방지역으로 침투하기 위해 부산에서 상륙 작전용 함정을 이용해 강원 삼척 묵호항에 도착했다.

고인은 같은 해 2월 15일 인제군 설악산 저항령 일대에서 주로 야간에 작전을 하면서 북한 빨치산을 공격하던 중 적의 총탄에 전사했다.

유해는 지난해 11월 8일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저항령에서 수습됐으며 만년필과 안경, 구두 주걱이 달린 열쇠고리, 단추, 탄피 등의 유품도 함께 발굴됐다.

고인의 유해 발굴은 한 등산객이 자신의 블로그에 저항령 정상부 너덜지대에서 지표에 노출된 유해를 목격했다는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고인의 신원은 아들 한씨가 2014년 11월 경남 합천군 보건소에 찾아가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뒀기 때문에 가능했다.

한씨는 "할아버지께서 생전에 아버지를 찾기 위해 육군본부 등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셨던 것으로 기억한다"며 "어머니는 홀로 저를 어렵게 키우시다가 1973년 암으로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라도 아버님의 유해를 찾아서 만나 뵐 수 있어서 너무나 감격스럽고, 국방부 관계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신원이 확인된 한 일병의 유해는 유가족들과 협의를 거쳐 국립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유해발굴감식단장인 이학기 대령은 "이름 모를 산야에 묻혀계신 전사자 분들이 아직도 12만 3천여명"이라며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영웅들이 하루빨리 가족의 품에 안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