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미·일·인도 외교장관 "안보리 대북제재 완전 이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에 최대한 압력"…中에 '역할' 촉구하기로

뉴스1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가운데)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오른쪽), 수시마 스와라지 인도 외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미 뉴욕에서 열린 3국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며 인사하고 있다.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미국과 일본, 인도의 외교장관들은 18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중단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를 신속하고도 완전하게 이행토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NHK·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 수시마 스와라지 인도 외무장관은 이날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미 뉴욕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을 열어 "북한에 대한 압력을 최대한 강화해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 같은 각국에 호소해가기로 했다.

미·일·인도 외교장관 회담이 열린 것은 지난 2015년 9월 이후 두 번째다.

고노 외무상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이 최근 제6차 핵실험을 실시한 데다 북한에서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지나가는 일이 반복되고 있음을 거론, "(북한은) 국제사회의 안전에 있어 이제껏 없었던 중대하고도 급박한 위협"이라며 "종래 없었던 새로운 단계의 압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장관들도 고노 외무상의 이 같은 지적에 공감을 표시하는 한편,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큰 중국이 핵·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해 한층 더 많은 역할을 해줄 것을 촉구해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일본 언론들이 전했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도 3국 장관들이 이날 회담에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담긴 "북한의 불법적 행동을 반대한다는 국제사회의 단호한 입장을 거듭 확인하고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북한과 국교를 맺고 있는 인도의 경우 북한의 전체 대외무역 규모 가운데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올 4월 이후 식량과 의료품 이외의 물자에 대한 금수 조치를 취하고 있다.

3국 장관들은 이외에도 이날 회담에서 중국의 인도양 등 해양진출 강화에 따른 대응책으로서 인도의 항만시설 정비를 포함한 해양안보 및 인프라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ys4174@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