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김미화 'MB 블랙리스트'로 검찰 조사…피해상황 진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0년 SNS 통해 'KBS 블랙리스트' 의혹 제기

검찰 조사 앞두고 "악몽 다시 떠올려야" 심경 고백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배우 문성근에 이어 방송인 김미화가 19일 검찰에 출석해 이명박 정부에서 문화예술계 인사를 압박하기 위해 작성한 ‘MB 블랙리스트’와 관련된 조사를 받는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이날 오전 10시 김미화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김미화는 블랙리스트에 올라 입은 피해상황 등에 대해 진술할 예정이다.

김미화는 지난 2010년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KBS 내부에 출연금지 문건이 돌고 있어서 출연이 안 된다”며 블랙리스트 의혹을 제기했었다. 지난 18일에는 검찰 출석 소식을 전하며 “왜 하필 나냐고 한탄 중이다. 악몽을 다시 떠올려야 한다”고 심경을 전했다.

앞서 검찰은 18일 문성근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MB 블랙리스트’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가 끝난 뒤 문성근은 “야권대통합의 취지로 시작한 ‘국민의 명령’ 운동을 할 당시 이를 와해시키기 위해 국정원에서 다양한 공작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SNS 등에서 제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다양한 공격, 또는 어버이연합에게 돈을 지불하면서 규탄 시위 등을 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밝혔다.

검찰은 국정원의 수사 의뢰에 따라 이명박 정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국정원 개혁위원회 산하 적폐청산 TF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명박 정부 시절 ‘반(反) 이명박’ 여론을 주도한다고 판단되는 문화예술계 특정 인물·단체에 대해 퇴출 등 압박 활동을 펼친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 결과 국정원은 당시 김미화를 비롯해 문화계 이외수·조정래·진중권, 배우 문성근·명계남·김민선, 영화감독 이창동·박찬욱·봉준호, 방송인 김제동·김구라, 가수 윤도현·신해철·김장훈 등 5개 분야에서 82명을 대상으로 퇴출 활동을 전개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국정원이 추산한 80여명보다 블랙리스트 관련 피해자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김미화는 오는 26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를 방문해 이명박 정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대한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는 박근혜 정부의 블랙리스트가 이명박 정부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고 시기와 상관없이 진상규명을 위한 조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