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크렘린, 트럼프 취임 초기 미-러 관계 전면 회복 제안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언론 보도…"접촉채널 복원, 아프간·북핵 등 국제현안 협의 촉구"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러시아 크렘린궁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양국 관계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야심찬 계획을 수립했었다고 러시아 일간 베도모스티가 13일(현지시간) 미 인터넷 뉴스매체 버즈피드(BuzzFeed)를 인용해 보도했다.

버즈피디는 이 같은 계획이 트럼프 취임(지난 1월) 후 3개월째 한 러시아 외교관을 통해 백악관에 전달된 문서에서 드러났다면서 사실상 이 제안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러시아 측은 서한에서 "미-러 관계를 즉각 완전히 정상화시킬 것"을 촉구하면서 양국이 5월에 아프가니스탄 대(對)테러전, 이란 핵합의, 우크라이나 사태, 한반도 비핵화 문제 등과 관련한 특별 협의를 하자고 제안했다.

또 푸틴과 트럼프 대통령의 첫 회동 때까지 미 중앙정보국(CIA)·연방수사국(FBI)·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국방부 등과 러시아 측 파트너들 사이에 접촉채널을 구축하고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정부에서 폐쇄된 다른 군사·외교 채널도 복원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버즈피드는 전문가를 인용해 "이는 미-러 관계의 전면적 정상화를 위한 '로드맵'"이라고 분석하면서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의혹에 개의치 않고 양국 관계의 급속한 회복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관, 백악관, 국무부 등은 이 문서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

아나톨리 안토노프 주미 러시아 대사는 앞서 지난 8월 말 "러시아 외무부가 올 3월에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가능한 행보에 대한 러시아 측의 구상을 담은 문서를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러시아 측의 제안에도 미국 내에서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의혹이 짙어지고 트럼프 진영 주요 인사들의 러시아 내통 사실이 속속 드러나면서 미-러 관계는 회복은커녕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양국은 외교관 맞추방, 외교자산 폐쇄 등의 제재 조치를 주고받으며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비공개 회동 중인 트럼프(오른쪽)와 푸틴 대통령 [AP=연합뉴스]



cjyou@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