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혜훈 6천만원 금품수수 의혹…"전액 변제했다" 법적대응 준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사진)가 한 사업가에게서 수천 만원의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이 대표는 빌리고 갚은 돈, 코디용품 구입비 등으로 6000만원이 오갔지만 청탁이나 대가성은 없다며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정치권은 이 대표의 금품수수 의혹이 바른정당 내홍으로 번지면서 정계 개편의 방아쇠로 작용하는 것은 아닐지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8월 31일 일부 언론은 '이 대표가 20대 총선에 당선될 경우 사업 편의를 봐주겠다고 해서 그에게 수천만 원대 금품을 제공했다'는 한 사업가의 주장을 보도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즉각 공식 입장문을 통해 해명을 한 데 이어 오후에는 경기도 파주 홍원연수원에서 열린 당 연찬회 도중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관련 의혹을 모두 부인했다. 이 대표는 "의도를 갖고 접근해온 사람을 분별하지 못하고 제대로 처방하지 못해서 생긴 일이라고 말씀드리고, 실례를 끼쳐서 여러 가지로 유감"이라며 "지난 총선 경선 때 정치권 원로이신 친박 모 인사를 통해 소개받았는데, 동향인이고 홍보도 잘 알고, 언론계 정치권 인맥이 두루 깊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설명했다.

금전수수 의혹에 대해 이 대표는 "빌리기도 하고 갚기도 하고. 중간에도 갚고, 갚은 후에도 빌리기도 했다"며 "다 갚았고, 청탁이 있었다든지 어떤 대가의 돈은 전혀 아니었다는 말씀을 확실히 드린다"고 강조했다. 구체적 액수에 대해서는 "빌리고 갚은 돈, 코디용품 구입비, '다른 일로 홍보를 도왔다'고 하면서 실제 들어갔다고 한 경비 등 총 6000만원 정도"라고 밝혔다. 물품수수 의혹에 대해선 "물품은 '코디용품'이라며 일방적으로 들고 왔고, 구입 대금도 모두 오래전에 전액 지급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금전대차 완납 시점에 대해 "마지막으로 (빌렸던 돈을) 다 갚았던 시점은 약 3~4개월 전"이라고 말했다. 6000만원 상당의 금품이 오간 것은 사실이지만, 청탁이나 대가성이 없는 순수한 사적 거래라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하지만 3선 의원인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상 후원금 외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사적 거래를 상당 기간 지속한 데 대해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런 지적에 대해 이 대표는 "이 분은 저에게 지금 필요한 것 같으니 쓰고 형편이 될 때 갚으라며 먼저 권했다"며 "후원금은 돌려받지 못하는 금액이지만 이 분은 돌려받을 생각이 있는 분이었고, 갚으라는 분에게 후원금을 내라고는 할 수 없지 않으냐"고 해명했다.

이 대표는 "오래전 (금품은) 다 갚았는데도 무리한 금품 요구를 계속해 응하지 않았고 결국 언론에 일방적으로 왜곡해 흘린 것"이라며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부당한 금품 요구'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이 대표는 "사업이 어려워졌다며 생활이 어렵다고 돈을 융통해 달라고 계속 졸랐다"고 말했다.

법적 문제와는 별개로 이 대표가 특정 사인과 금전대차 사실을 인정하면서 정치적 공방은 끊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대표의 당권 접수 이후 유승민계에 힘이 쏠린다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해온 김무성계 의원들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다. '반(反) 유승민계' 바른정당 중진 의원은 이날 매일경제와 전화 통화하면서 "일단 금전이 오갔다고 인정을 했기 때문에 쉽게 문제가 가라앉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타이밍이 참 안 좋을 때 문제가 불거졌다"고 말했다. 각종 연대론에 대해 '자강론'으로 맞서면서 광폭행보를 이어가던 이 대표에게 "기묘한 타이밍에 제보가 불거진 것은 정치적 음해가 아니냐"는 바른정당 내부의 시각도 있다.

한편 이 대표가 한 사업가로부터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진정을 접수해 곧 수사에 나설 예정이다. 서울중앙지검은 8월 31일 "사업가 A씨가 오늘 이 의원과 관련한 진정서를 제출해 내일 배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범주 기자 / 조성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