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文대통령 日에 “위안부 합의, 당사자에게 의견 구하지 않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일의원연맹 대표단 접견 자리에서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한일의원연맹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합의의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외교부의 TF가 활동 중인데 그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부터 40분간 청와대 인왕실에서 후쿠시로 한일 의원연맹 일본 측 회장과 강창일 한국 측 회장 등 대표단을 접견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양국 간 합의가 있었다고 하지만 한국인의 기대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고 특히 피해 당사자 할머니들과 충분하게 협의해 동의를 받았어야 하는데 그런 과정이 없었다”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민은 정서적으로 그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왜 그 시기에 할머니들과 국민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았는지 의아해하고 있다”면서 한일 위안부 합의의 절차적 문제를 거론했다.

그러면서 “고노 무라야마 담화나 김대중 대통령·오구치 총리의 공동선언 취지를 이어갔으면 한다”면서 “내년 2월에는 한국의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고 2020년 일본 도쿄에서는 하계올림픽이 2022년 베이징에서는 동계올림픽이 열리는데 동북아에서 연이어 열리는 행사를 계기로 양국 관계의 발전과 동북아 평화 번영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위안부 합의 문제를 다시 들고 나온 것은 후쿠시로 회장이 위안부 합의 및 강제 징용 희생자의 개인 청구권 문제를 꺼낸 데 대한 반응이다. 후쿠시로 회장은 위안부 합의는 이미 이뤄진 것이고 강제징용 피해자와 관련된 문 대통령의 발언에 일본의 걱정하는 부분을 전달했다.

박 대변인은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 설명을 길게 한 것”이라며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 희생자에 대한 일본의 발언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몇 년간 한일관계가 답보상태에 있었지만 저의 취임 이후 양국간 미래지향적 관계의 흐름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