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추미애·親文 ‘정발위 갈등’ 전면전 비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秋 “혁신안이 바이블은 아니다…중앙당 패권, 시도당에 옮긴 것 권한 회수 아닌 견제·균형 의미” / 親文 “공천 좌우해 자기사람 심기…논의 계속하면 집단행동 돌입” / 박범계 “주내 갈등 봉합 최고위 열자”

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정발위) 구성을 둘러싼 추미애 대표와 친문(친문재인) 진영 간 갈등이 좀처럼 수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추 대표는 21일 “정발위는 이미 최고위원회의를 통과한 것”이라며 강행 의사를 재확인했고, 당내 정발위 반대파들은 집단행동에 돌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양측의 강대강 대치는 내년 지방선거의 공천권 문제가 방아쇠 역할을 했지만, 깊숙이 들어가면 대선 과정에서부터 누적된 앙금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일보

민주 최고위원회의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오른쪽)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념 대국민 보고대회 등 각종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재문 기자


추 대표는 이날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정발위를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추 대표는 2015년 문재인 대표 시절 김상곤 혁신위원장 혁신안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혁신안이 바이블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상곤 혁신안’에는 각 지역의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 의원의 공천권을 시도당 위원회에 이양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추 대표는 “혁신안은 중앙당의 패권을 개선하려고 만든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중앙당의 패권을 시도당에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라며 “지금 시도당 위원장은 9월부터 12월까지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을 평가한 뒤 자신은 공직자 사퇴시한에 맞춰 위원장을 사퇴하고 (지방선거에) 출마할 수 있어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중앙당이 시도당의 권한을 회수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견제와 균형이 가능하도록 고민해보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추 대표는 전날 문 대통령의 취임 100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언급하며 “정당을 혁신하자는 것은 소통을 강화하고 당원권을 키워 역동적으로 선순환하는 정당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것으로 문 대통령이 말씀하신 직접민주주의와 같은 취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친문 진영을 중심한 정발위 반대파의 생각은 다르다. 추 대표의 정발위 추진은 시스템 공천과 분권이라는 ‘김상곤 혁신안’을 뒤집으려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선거 1년 전 경선 룰을 확정하도록 한 현행 당규를 위반하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도 이어졌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당 대표가 공천을 좌지우지해서 자기 사람을 심으려고 하는 게 아닌지 우려가 되는 대목”이라며 “추 대표가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발위 논의를 계속한다면, (정발위 반대) 뜻을 같이하는 의원들과 공동으로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와 친문 진영은 유독 인사 문제로 잡음이 많았다. 추 대표가 대선 선대위 상황실장에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민석 전 의원을 임명한 데 이어 대선 직후에는 친문계로 분류되는 당시 안규백 사무총장을 경질하는 과정에서 논란이 제기됐다. 당에서 국무위원을 추천하는 추 대표의 인사추천위원회 제안 구상이 친문계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

추 대표의 정발위 구상을 계기로 여권 내부 주도권을 잡기 위한 양측 간 전면전이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추 대표는 설훈 의원이 지난 18일 의원총회에서 ‘당 대표가 당헌·당규를 위반한 것도 탄핵감이지 않으냐’는 취지로 발언한 것과 관련해 “농담으로 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범계 최고위원은 이날 비공개 최고위에서 “이번 주 내로 봉합을 위한 최고위 논의를 하자”고 추 대표에게 요구했다. 이에 따라 추 대표 측은 23일 최고위에서 정발위 권한을 축소하거나 공천 분야에 한해 단계적으로 논의에 착수하는 절충안 제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