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알리안츠 글로벌 코퍼레이트 앤 스페셜티 “사이버 보안과 해적 리스크로 해운업계 긴장 고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1) 김지석 기자 = 지난 10여 년간 선주사의 강력한 안전 환경 조성에 힘입어 대규모 해운 손해가 전 세계적으로 50% 가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알리안츠 그룹의 기업 및 특수 보험 전문 회사인 알리안츠 글로벌 코퍼레이트 앤 스페셜티 (Allianz Global Corporate & Specialty, 이하 AGCS)에 따르면, 2016년 전세계 해운손해는 85건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전년도의 101건 대비 16% 하락한 수치이자 지난 10년 중 최저치였다. 해운사고 역시 전년대비 4% 소폭 감소한 2,611건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손해 건이 가장 많은 지역 세 곳 중 두 지역은 아시아였다. 남중국,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 필리핀 지역에서 2016년 손해 건 중 25%가 넘는 23건이 발생했다. 손해율이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지역인 일본, 한국, 북중국의 손해사건도 증가했다.

AGCS 글로벌 선체 및 해상 책임 보험 상품 책임자인 밥티스트 오세나(Baptiste Ossena)는 “장기적으로 손해 건수가 감소한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라며 “현재 해운 부문은 경제적 압박을 받으면서 동시에 상호 연결된 여러 가지의 리스크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 해 세계 최대 해운회사 중 하나이자 국내 기업인 한진해운의 파산으로 해운산업의 위험한 상태가 드러났다. 파산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부채가 높고 소득이 줄면 선주사들은 유지보수비, 트레이닝 및 인건비 등을 절감하려 하고, 이로 인해 손해 건이 늘어날 수 있다.

AGCS 한국지점의 아르네 아이스펠트(Arne Eisfeld) 부사장은 “한진도 예외가 될 수 없다”라며 “최근 중소 기업에서부터 대기업까지 파산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해운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인수, 합병, 제휴 등이 일상화 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최근 불황으로 인해 해운업은 점차 통합을 지향하며, 보다 크고 효율적인 선박을 선호하는 추세다. 선박의 규모가 커지면 리스크 노출도 커지며, 지난 10여 년간 네 배 가량 증가했다. 올해 초 한국의 세월호 복구를 위한 해난구조작업은 7,200만 달러가 소요되었다. 잔해제거, 소송 비용, 승객 및 승무원에 대한 보상, 벙커유 및 기름 오염 제거, 다른 선박의 피해에 대한 보상 등을 감안할 때, 두 대의 대형 선박이 일으킨 대규모 해상사고 처리의 경우 20억에서 40억 달러 가량이 소요될 수도 있다는 추산은 비현실적인 것이 아니다.

해적사건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국제해사국(International Maritime Bureau, IMB)에 따르면, 2016년 해사국에 기록된 해적사건은 191건으로 1998년 기록을 시작한 이래 최저치였다. 이러한 감소추세는 아덴만과 인도양의 소말리아 해적 활동에 대한 억제 조치가 성공적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지역의 해적사건은 늘어났다. IMB에 따르면, 2016년의 선원납치사건 수는 크게 증가해 2015년의 약 3배에 달했다. 2016년 해적들이 몸값을 위해 사람을 납치한 사건은 15건, 납치한 인원은 62명이었으며, 이 중 28명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주변 등 아시아 해역에서 납치되었다.

특히 2016년 10월에는 무장단체가 필리핀 남부 해역에서 대한민국 국기를 단 화물선을 납치해 한국 국적 선장과 필리핀 선원을 인질로 잡았다. 이전 납치사건이 소형 어선을 대상으로 했다면, 보다 큰 상선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 첫 번째 사건이었다.

사이버 공격에 대한 위협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사이버 공격은 선박의 통제권 장악이 아니라 기업 보안체계 공격이 목표였다. 그러나 아시아에서는 이미 선박의 항해능력을 무력화하려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 바 있다. 2016년 3월, 북한의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한국의 선박 수백 대의 GPS 항해 시스템이 무력화되면서 항구로 회항된 사건이 발생했다.

사이버 공격에 대한 경각심 부족 및 결과에 대한 안일한 대처로 위협은 증가하고 있다. 아이스펠트 부사장은 “해운업은 사이버 공격에 대해 특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사이버 공격으로 큰 사고가 발생한 적이 없기 때문에, 해운업 종사자들이 리스크에 대해 안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중국, 미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남중국해에 위치한 여러 군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긴장이 계속 고조되고 있다. 남중국해를 둘러싼 영토 분쟁이 더 심화될 경우 선주사들은 비용이 더 많이 드는 큰 대안 항로를 모색해야 한다.

아이스펠트 부사장은 “전세계 무역선 3분의 1이 남중국해를 통과하기 때문에, 중국과 베트남, 일본과 중국, 한국과 일본, 중국과 필리핀간의 갈등으로 해운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상황이 악화될 경우 선박들이 항로를 바꿔야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운영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경고했다.
nohsm@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