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독립피디들, ‘열정착취’와 방송사 ‘갑질’ 근절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방송사 불공정 행위 청산과 제도 개혁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2018년까지 ‘특별법’ 만들자”

16일 고 박환성·김광일 피디 추모 및 결의대회 열고

‘방송 외주제작 생태계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선언’ 등 발표



한겨레

한국독립피디협회는 16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고 박환성·김광일 피디 추모 및 방송사 불공정 행위 청산 결의대회’를 열고 특별법 제정 등의 계획을 밝혔다. 이날 결의대회에선 한가운데에 놓인 두 피디의 부서진 카메라를 다른 피디들의 카메라들이 보호하듯 둘러싼 ‘카메라 시위’도 함께 진행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밥줄을 내놓고 <교육방송>(EBS)과의 일을 언론에 공개하기로 마음먹은 이유는,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한국 방송 바닥에서 독립피디·외주제작사를 한다는 것은 방송사 앵벌이 그 이하도 이상도 아니다’라는 지난 15년의 생각이 굳어질 것 같아서입니다.”

고 박환성 피디가 <한겨레>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지난달 동료 김광일 피디와 함께 국외 촬영을 하다가 교통사고로 숨진 박환성 피디는 사망 직전까지 방송사의 불공정 거래와, 방송사들이 정부지원금을 ‘협찬’으로 분류하는 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제기에 앞장섰다.(▶관련기사 ‘독립다큐 PD가 받은 정부지원금, EBS에 일부 떼달라?’)

고인들의 뜻을 받들어, 한국독립피디협회는 최근 내부에 ‘방송사 불공정 행위 청산과 제도 개혁을 위한 특별위원회’(방불특위, 위원장 최영기)를 꾸리고, 16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고 박환성·김광일 피디 추모 및 방송사 불공정 행위 청산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결의대회가 진행된 회견장 한가운데는 고 박환성·김광일 피디의 유품인, 부서진 카메라가 자리했으며, 결의대회에 참여한 독립피디 100여명이 자신들의 카메라로 고인들의 카메라를 보호하듯 둘러싼 ‘카메라 시위’가 함께 진행됐다. 독립피디들은 두 피디의 죽음을 방송사와의 불공정거래에서 비롯된 열악한 제작 환경이 낳은 ‘사회적 타살’로 규정했다.

이 자리에는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 추혜선 정의당 의원을 비롯해 김환균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오기현 한국피디연합회장,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 등이 참여해 방불특위와 함께 ‘방송 외주제작 생태계 정상화를 위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외주제작 편성 비율은 방송사별 차이가 있지만 평균 50%를 상향한다. 방송 외주제작 생태계를 건강하게 하는 건, 좋은 시청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국민의 권리와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방불특위는 이날 1~3단계로 나눈 활동계획도 발표했다. 1단계는 <교육방송> 진상조사, 국회 국정감사 등을 통해 심층조사를 벌이고, 2단계는 각계 의견 수렴을 통해 제도 개선을 위한 대안을 만들며, 3단계는 국회의원 공동발의로 특별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방불특위는 단계별 목표 기간을 1단계 2~3달, 2단계 6~8달, 3단계 6달로 잡았다.

고 박환성 피디처럼 ‘밥줄’을 내놓고, 불공정거래 관행을 방불특위에 제보하는 독립피디도 늘고 있다. 이날 한 독립피디는 지난 2년 동안 <한국방송>(KBS)에서 정부기관의 제작지원금 일부를 ‘송출료’ 명목으로 25~40%가량 떼어간 경험을 폭로했다. 방불특위는 “지난달 1500만원 협찬금 중 방송사가 900만원 가져가서 제작비 600만원만 받았다. 방송사는 저작권도 가져간다. 내가 뭘 하는지 자괴감이 든다”, “내가 만든 프로그램 영상을 다른 데 쓰려니까 방송사가 사용료를 내라고 했다. 내가 찍고 만든 프로그램인데 내 돈을 주고 사서 썼다” 등의 문자 제보도 일부 공개했다.

김효실 기자 trans@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 페이스북]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