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사설] 더 빠르고 투명하게 살충제 계란의 불신과 공포 차단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란계 농가에서 살충제 계란이 발견된 후 정부 당국의 후속 조치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는 건 다행스럽다. 오염된 계란 생산 농가는 발견되는 대로 신속하게 공개하고 적합 판정을 받은 계란은 판매를 허용하는 등의 융통성도 과거와는 달라진 모습이다.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도 기자회견에서 오늘까지 전수조사를 완료하고 살충제 오염이 기준치 이하인 계란도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계란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과 불신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많은 식당이 계란 반찬을 포기했고, 도매상들은 적합 판정을 받은 계란도 팔리지 않는다며 어려움을 호소한다. 16일 추가로 밝혀진 나주 농가의 계란에선 기준치의 21배가 넘는 비페트린이 검출되며 소비자들이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측면도 있다. 하지만 더욱 근본적인 것은 그동안 정부의 살충제 등 약물 관리와 미심쩍은 유통 과정을 관리되지 못한 데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부는 환경인증농가에 살충제 검사는 하지 않음으로써 이번 사태를 불러온 책임이 있다. 또 닭고기는 안전하다지만 실제로 육계도 진드기 등 해충 관리를 위해 약이 살포되고 있다는 증언이 나오고, 노화한 산란계가 식용으로 유통되고 있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점에서 정부의 주장을 믿을 수 없다는 시각이 강하다.

정부는 괴담 관리 태스크포스를 만들고, 일각에선 지난해부터 살충제 위험성을 경고했다며 과거 정부에 책임을 떠넘긴다. 식약처는 성인이 175개 이상을 먹어야 급성 독성이 나타난다며 유해성을 낮게 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왜 지난 100일간 아무 조치도 하지 않았느냐며 결국은 ‘도긴개긴’이라는 실망감을 드러낸다. 더 이상 책임 전가와 회피로 소비자들의 불신과 공포를 누그러뜨리려 해선 안 된다. 예상을 뛰어넘는 신속하고 투명한 조치만이 확산일로의 불신과 공포를 차단할 유일한 방법이다.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