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호주 부총리 '이중국적 스캔들' 뉴질랜드 정치계까지 논란 일파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줄리 비숍 호주 외무장관. 사진출처=/AP,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김지수 기자 = 최근 호주 의원들의 잇단 이중국적 문제가 집권 연립여당의 위기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호주가 뉴질랜드에 화살을 돌리면서 양국 간 설전이 오가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줄리 비숍 호주 외무장관 겸 집권 자유당 부대표는 15일(현지시간) 호주 야당인 노동당이 마찬가지로 뉴질랜드 좌파 야당 노동당과 짜고 호주 의원들의 국적 정보를 공개해 호주 정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비숍 장관의 이 발언은 바나비 조이스 호주 부총리 겸 국민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이 뉴질랜드 국적자라는 사실이 14일 피터 던 뉴질랜드 내무부 장관의 인터뷰에 의해 밝혀지면서 논란이 된 다음날 나온 것이다.

조이스 부총리의 이중 국적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호주 헌법이 이중국적자가 연방 의원직을 맡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호주는 조이스 부총리 외에도 4명의 의원들이 이중국적 문제로 사퇴하거나 대법원의 사퇴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등 온 나라가 이중국적 스캔들에 휘말린 상황이다.

조이스 부총리는 자신도 모르는 새 뉴질랜드 시민권이 부여된 것이라면서 대법원에서 의원 자격 박탈 여부를 결정받겠다며 부총리직과 의원직 사퇴를 거부하고 있다. 현재 보수 성향의 자유당-국민당 연립정부는 하원에서 단 1석 차이로 과반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만일 조이스 부총리의 의원직이 박탈될 경우 연립여당은 앞으로 큰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 문제는 호주에서 의원들의 이중국적 스캔들이 번져가던 도중 호주 언론들이 아버지가 뉴질랜드인인 조이스 부총리가 이중국적자일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불거지기 시작했다.

문제가 뉴질랜드로까지 번진 것은 뉴질랜드 노동당 소속 크리스 힙킨스 의원이 호주 노동당 소속의 지인에게 뉴질랜드 시민권의 자동 부여 조항에 대해 질문을 받았지만 자신은 대답할 수 없었다면서 뉴질랜드 의회에서 던 장관에게 이 부분에 대한 질의서를 제출한 부분 때문이다. 던 장관은 이 질의서에 공식 답변을 하지 않았지만 호주 매체에 조이스 부총리가 뉴질랜드 시민권을 자동 부여받은 상태라고 밝혔다. 힙킨스 의원은 던 장관에게 질의서를 제출함으로써 호주 노동당을 위해 이 문제에 개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비숍 장관은 호주 노동당 당수인 빌 쇼튼 의원이 뉴질랜드 노동당과 짜고 “고의로 호주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외국 의회에서 의문을 제기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다음달 23일 열릴 뉴질랜드 총선에서 뉴질랜드 노동당이 승리한다면 호주 정부와 뉴질랜드 정부의 협력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양국 노동당이 호주와 뉴질랜드의 관계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조이스 부총리의 국적 정보를 유포한 당사자인 뉴질랜드 연합미래당의 당수인 던 장관은 자신이 노동당의 사주를 받아 이 문제를 조사했다는 주장은 “완전히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반박했다.

뉴질랜드 노동당의 새로운 당수인 재신다 아덴 의원도 비숍 장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아덴은 “거짓 주장이 호주와 뉴질랜드 양국의 관계에 계속 방해가 되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뉴질랜드에 주재하는 호주의 최고위급 외교관인 고등판무관을 15일 만나 비숍 장관의 발언에 대해 실망했다는 뜻을 전했다.

한편 맬콤 턴불 호주 총리는 14일 자신이 이중국적자인지도 모르는 호주 시민들이 수백만 명은 될 것이라면서 조이스 부총리에 대한 대법원이 이중국적자의 의원직 금지에 대한 법 조항 적용에 융통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