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벼룩 잡는 살충제 사용 알고도…'4월 경고' 무시한 정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제의 피프로닐은 개와 고양이에 붙어 있는 진드기와 벼룩을 잡는 살충제입니다. 사람에게 노출되면 두통이나 경련을 일으키고, 그 양이 많을 경우 장기가 손상될 우려도 있습니다. 이런 독성 때문에 닭 같은 식용 가축에는 사용이 금지돼 있습니다. 지난 4월 국내산 달걀에서도 피프로닐이 검출됐다는 시민단체의 조사결과가 있었지만, 당국이 이를 외면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장선이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4월 시민단체인 한국소비자연맹은 '달걀 농약관리 방안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당시 토론회에는 농식품부, 식약처 관계자도 참석했다고 주최 측은 전했습니다.

당시 토론회 자료입니다. 이 단체가 2개 기관에 의뢰해 시중 유통 중인 달걀 51개를 분석한 결과 두 개에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이 허용 기준을 초과해 검출됐습니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살충제 관리가 시급하다고 정부 측에 요구했습니다.

[이향기/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 : (당국이) 모니터링 하겠다 했었는데 적극적으로 안 한 거죠. 지금 보도자료 발표하듯이 그때 당시에 했으면 좋은데 소극적으로 대처한 거죠.]

토론회에서는 산란계 농장의 61%가 피프로닐을 비롯한 농약을 사용하고 있다는 조사 내용도 공개됐습니다.

살충효과가 크다는 이유로 독성 물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됐을 개연성이 있다는 겁니다.

[정상희/호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교수 : 산란 농가 다니는 수의사들 이야기 들어보면 흠뻑 닭의 깃털이 젖을 정도로 (살충제를) 뿌린다고 해요. 환경이 취약한 데서는 건강한 달걀이 생산돼야 하다 보니 쓸 수밖에 없는 거죠.]

농식품부가 부랴부랴 양계 농가를 대상으로 살충제 관련 교육에 나서기로 했지만, 사전 경고를 무시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영상취재 : 노인식, 영상편집 : 오영택)

[장선이 기자 sun@sbs.co.kr]

☞ [나도펀딩] 내부고발자 돕기
☞ [마부작침] 단독 공개! 친일파 이완용 재산 최초 확인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