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태백산 호랑이’ 신돌석 장군, 1800t급 잠수함으로 부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14급 잠수함[사진 해군 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한말 평민 의병장으로 항일 무장투쟁에 앞장섰던 신돌석 장군(1878~1908년)이 우리 해군의 1800t급 최신예 잠수함으로 부활했다.

해군은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대한제국 당시 평민 출신 의병장으로 활동한 신돌석 장군의 애국심을 기리고자 214급(1800t급) 잠수함 9번함의 함명을 ‘신돌석함’으로 명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일제의 국권침탈 이전 무장 항일운동을 펼친 의병장의 이름을 214급 잠수함 함명으로 제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돌석함은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사거리 1000여㎞의 국산 순항미사일을 탑재한다. 신돌석함은 길이 65.3m, 폭 6.3m로 최대 속력은 20노트(37km)이다.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 중인 신돌석함은 다음 달 초 진수된 후 내년 말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214급 9번함인 신돌석함이 해군에 인도되면 해군의 214급 잠수함 건조사업(장보고-II)은 종료된다.

1878년 경북 영덕에서 태어난 신돌석 장군은 을미사변 이듬해인 1896년 100여 명의 의병을 이끌며 고향에서 항일운동을 일으켰다. 이후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다시 의병을 일으켜 3000여 명의 병력을 지휘하며 맞섰다. 울진에서는 정박 중이던 일본군선 9척을 격침했다. 동해안을 비롯한 강원도와 경상북도 내륙지역에서 여러 차례 이뤄진 격전에서 승리했다.

‘태백산 호랑이’로 불리며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던 신돌석 장군은 1908년 11월 18일 31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했다. 경북 영덕 축산면에 생가가 보존돼 있다.

정부는 신 장군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고, 국가보훈처는 1998년 1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바 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