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통합사회·과학 사교육 새 부담 “현 중3 대학 갈 땐 3중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1학년 수능개편 시안 살펴보니

4~5개 과목 합친 통합사회·과학

공부할 분량 많아 학원 의존 불가피

절대평가 늘어 내신 경쟁 더 치열

국어·수학·탐구 쏠림 현상 우려도

둘째 자녀가 중3인 주부 김모(43·서울 서초구)씨는 지난 10일 현재 중3이 치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이 나온 이후 마음이 혼란스럽다. 김씨는 “아이가 어려워하는 물리·화학 등이 혼합된 통합과학을 잘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며 “중간·기말고사에서 이 과목을 잘못 보면 내신이 나빠져 대학 입시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심란하다”고 말했다.

이번 시안에 따르면 2021학년도 수능부터는 절대평가가 현재의 영어·한국사에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포함해 4과목으로 늘어나거나(1안) 아니면 수능 전체 7개 과목으로 확대된다.

현재로선 1안 채택이 유력하다. 이 경우 국어·수학·탐구는 상대평가로 남는다. 김씨는 “올해 고2인 첫째가 수능과 내신, 비교과를 동시에 준비하느라 대상포진에 걸리기도 했다. 지금도 대학 가기가 힘든데 둘째는 부담이 더 늘어나는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수능 개편 시안이 공개된 뒤 학부모·교사들은 “수능의 가장 큰 문제인 무한경쟁은 해결하지 못한 채 입시만 복잡하게 만든 개악(改惡)”이라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본지가 교사와 입시 전문가들을 취재해 보니 현 중3은 수능 개편에 따라 삼중고(三重苦)를 겪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신설된 통합사회·통합과학 학습 부담 ▶내신 경쟁 심화 ▶국어·수학·탐구 과목 사교육 ‘풍선효과’다.

통합사회는 경제·지리·세계사·사회문화·윤리 등 기존 사회 과목이, 통합과학은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등 기존 과학 과목이 하나로 합쳐져 새로 생긴다. 교육부는 지난 10일 수능 개편안을 발표하며 “통합사회·통합과학은 중3과 고1을 잇는 중간 단계라 수능에선 고1 수준으로 쉽게 출제하고 절대평가를 적용해 학습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사들의 생각은 다르다. 신동원 휘문고 교장은 “통합사회·통합과학을 고1 때 가르치면 고3 때 이 과목을 복습해야 한다. 사교육에 의존해야 하는 부담감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고교 교육 과정과 수능 과목이 따로 놀아 사교육 유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합 과목에 대해 교사들의 준비가 미흡하다는 얘기도 나왔다. 서울의 한 일반고 과학교사는 “내년 3월부터 수업해야 하는데 아직 교과서도 나오지 않아 교재 연구를 미리 할 수 없는 상황이다”며 “교과서는 여러 교과가 통합돼 융합적 주제를 다루더라도 막상 수업 때는 물리·화학 등 개별 과목으로 쪼개 가르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두 번째 부담은 절대평가 과목이 많아져 내신 경쟁이 치열해진다는 점이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이미 상위권 대학은 학생부 위주로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수능이 절대평가로 바뀌어 변별력이 낮아지면 대학은 더욱 내신을 중시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교사들은 학교가 더욱 치열한 ‘내신 전쟁터’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혜남 문일고 진학부장은 “학교가 앞장서 학생들을 줄 세우게 될 것이다. 중간·기말고사는 물론 수행평가 점수까지 대입에 고스란히 반영된다면 학생들은 일상이 경쟁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미 사교육시장도 내신 위주로 재편되는 분위기다. 교육컨설팅업체 스터디홀릭의 강명규 대표는 “대치동이나 목동 등에선 이미 대형 강의보다 내신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주는 소규모 컨설팅업체가 성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1안으로 확정될 경우 상대평가로 남는 국어·수학·탐구 과목의 변별력이 중요해져 이들 과목의 사교육 쏠림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절대평가 과목은 기본만 하면 되고 상대평가 과목에서 1~2점 차이가 등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국어·수학 쏠림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효근 하나고 과학교사는 “국어·수학 성적만으로 변별이 되지 않을 경우 탐구영역 점수가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며 “선택 과목별로 난이도와 응시학생 수 등 차이가 있어 어떤 과목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등급이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