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땅값이 금값'…9년만에 최고, 전국 땅값 중 어디가 제일 비쌀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땅값이 금값'…9년만에 최고, 전국 땅값 중 어디가 제일 비쌀까?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뛰면서 거래도 활발해져 지가상승률은 9년만에, 거래량은 11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개발 호재가 많은 세종시와 부산, 제주 등지가 전국 땅값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지가 변동률은 작년 동기 1.25%보다 0.59%포인트 높은 1.8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소비자 물가변동률(1.41%)보다도 소폭 높은 수준이며, 상반기를 기준으로 2008년 2.72%를 기록한 이후 9년만에 최고치입니다.

전국 땅값은 10년 11월 이후 올해 6월까지 80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오른 가운데 수도권(1.86%)이 지방(1.82%)보다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서울은 2.10% 오르며 2013년 9월부터 4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경기(1.69%), 인천(1.45%)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습니다.

시·군·구별로 볼 때 부산 해운대구가 4.39%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센텀2지구 등 개발사업 호재와 주거 및 상업용지 투자수요로 땅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서울에서는 주택 재개발과 상권 확대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마포구와 용산구가 각 2.76%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울산 동구(-1.00%)와 경남 거제(-0.17%) 등지는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수요 감소로 지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북 군산(0.36%), 경남 통영(0.69%)도 조선산업 불황의 여파로 상승률이 저조했습니다.

전국 땅값 상승률은 이용상황별 기준 주거용지가 2.0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상업용지 1.82%, 밭 1.69%, 논 1.64%, 공장용지 1.24%, 기타 1.22%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이 2.07%로 가장 크게 올랐다. 상업지역 1.82%, 계획관리지역 1.78, 녹지지역 1.53% 순으로 상승했습니다.

지목별 거래량은 임야가 전년대비 15.8% 늘었다. 대지 10.8%, 공장용지 10.1%, 논 7.0%, 밭 5.0%순입니다.

올 상반기에는 땅 거래도 활발했습니다.

전체 토지 거래량은 총 155만3천739필지로 작년 상반기에 비해 10.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토지 거래량 집계를 2006년부터 했는데 상반기 기준으로 올해 거래량이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거래된 토지의 면적은 서울의 1.8배에 달하는 1천95.4㎢에 달했습니다.

지역별로 세종(56.3%), 광주(25.3%) 등은 증가한 반면 울산(-9.6%), 제주(-9.1%) 등은 감소했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부동산 수요 증가로 지난해 대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 수요가 많은 세종·부산·제주 등을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며 "토지거래량은 상업 및 주거용 토지 등 거래 증가로 상반기 집계 기준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