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LG전자 2분기 영업익 6641억원…가전 선방·스마트폰 부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스포츠서울 이선율기자]LG전자가 생활가전 부문이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액 5조원을 달성했으나 스마트폰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6600억원대에 그쳤다.

LG전자는 지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14조5514억원과 6641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기대비 0.7% 떨어졌지만 전년동기대비 3.9%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27.9% 감소했지만 전년동기대비 13.6% 증가했다.

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H&A)사업본부는 지난 2분기 매출액 5조2519억원 영업이익 4657억원을 달성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11.7% 영업이익은 7.4% 늘어났다. 에어컨과 세탁기 중심 한국과 북미에서 호조를 보였다. 공기청정기 건조기 등 새 시장 창출도 성과를 냈다.

홈엔터테인먼트(HE)사업본부는 지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4조2349억원과 3430억원을 올렸다.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9% 많지만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3.8% 떨어졌다. 프리미엄TV 판매는 순항했다. 그러나 패널 가격 상승에 따라 원가부담이 커졌다.

H&A사업본부와 HE사업본부는 LG전자의 중심이다. 지난 2분기 두 사업본부는 각각 8.9%와 8.1% 영업이익률을 보였다. 동종업계 최고 수준이다. 기나긴 휴대폰 부진에도 불구 LG전자가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이다.

MC사업본부는 지난 2분기 역시 적자다. 매출액 2조7014억원 영업손실 1324억원을 나타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21.0% 감소했다. 영업손실 규모는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스마트폰 ‘G6’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판매는 안 되고 재고를 소진하기 위해 마케팅비는 커지는 악순환 지속이다. 2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1330만대로 전기대비 10% 전년동기대비 4% 줄었다.

자동차부품(VC)사업본부는 지난 2분기 매출액 8826억원 영업손실 164억원이 집계됐다.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8.0% 급증했다. 영업손실은 기술투자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3분기도 이런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생활가전은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따라 한국 북미 유럽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가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익성을 지킬 것으로 보인다.

TV는 수요 정체에도 불구 프리미엄 중심 영업이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휴대폰은 일단 실적은 개선될 것이 확실하다. 중가폰 Q시리즈와 고가폰 ‘V30’ 등 신제품 효과 때문이다. 다만 적자 탈출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VC사업본부는 덩치 키우기를 지속해야한다. 현재 모습이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melody@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