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여성가족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500대 기업 임원 중 여성은 40명중 1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500대 기업 세 곳 중 두 곳은 여성 임원이 없었다.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막는 '유리천장'이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의 임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여성임원의 수는 406명으로 전체 임원의 2.7%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임원 중 여성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은 전체 조사대상 기업의 67.2%인 336개사로 조사됐다. 500대 기업 중 3분의 2는 여성임원이 전무하다는 이야기다.
임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상승하고 있으나 상승폭은 크지 않았다. 여성임원 비율은 △2014년 2.3%(353명) △2015년 2.4%(376명) △2016년 2.7%(406명)로 2년 동안 0.4%포인트 올랐다. 여성임원이 없는 기업의 비율도 2014년 69.6%에서 2015년 69.2%, 지난해에는 67.2%로 2년새 2.4%포인트 감소하는데 그쳤다.
산업별로 보면 2014년과 비교해 △제조업(2.0%→2.3%) △도·소매업(3.7%→4.9%) △건설업(0.5%→0.8%)에서는 여성임원 비율이 확대됐다. 그러나 취업자 중 여성 비율이 53.7%로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의 경우 오히려 여성임원 비율이 같은 기간 3.0%에서 2.7%로 감소했다.
여가부는 조사 결과에 대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관리직위 확대로 자연스럽게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어 "유리천장과 유리벽을 깨기 위해 성 차별적 제도와 관행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지난해 각국의 여성 임원 비율을 집계한 결과 한국은 2.4%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20.5%에 크게 못 미쳤다.
문재인정부가 '실질적 성평등 사회 실현'을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한 만큼 정부는 공공부문부터 선도적으로 여성 대표성을 높여가기로 했다.
우선 현재 전 공공기관과 500인 이상 민간기업에 적용되고 있는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적용을 지방공기업까지 늘릴 계획이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란 고용상 성차별 해소를 위해 특정 성을 잠정적으로 우대하는 조치로, 여성 근로자·관리자 비율이 규모별, 동종 업종 평균의 70%에 미달한 기업에게 시행계획서를 제출하게 하고 실적을 점검하는 제도다.
또 '여성인재 아카데미'에서 청년여성, 중간관리자, 고위관리자 등 경력단계 별로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해 여성인재의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 6월말 출범한 '좋은 여성일자리 늘리기 기획단'에서 민간부문의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한 과제를 논의하고 관련 민간단체와 여성임원 확대 방안을 함께 검토한다.
정현백 여가부 장관은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졌으나 경력 유지의 어려움, 차별과 편견 등으로 여성대표성 수준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역량을 갖춘 여성인재들이 실질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갖는 여성임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 여성관리직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민간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권혜민 기자 aevin54@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